[지구촌 So hot!] 수면 부족, 노인성 치매 부른다

수면부족이 노인성치매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쥐 실험 결과를 통해 제기됐다. 24일 온라인 의학뉴스 전문지 헬스데이 뉴스에 따르면 미국 워싱턴대학 의과대학 신경과과장 데이비드 홀츠먼(David Holtzman) 박사는 노인성치매 환자의 뇌에 축적되는 독성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잠 잘 때는 줄어들고 깨어 있을 때는 증가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 홀츠먼 박사는 카테터(도관)로 뇌척수액을 검사하는 방법을 개발해 치매모델 쥐를 대상으로 매 시간 베타 아밀로이드 수치를 측정한 결과 잠 잘 때는 수치가 내려가고 깨어 있을 때는 올라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특히 쥐들에게 잠을 억지로 자지 못하게 했을 때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형성이 크게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면을 억제하는 물질인 오렉신이 뇌에 주입된 쥐들은 더 오랜 시간 깨어 있었으며 베타 아밀로이드 수치도 올라갔다. 홀츠먼 박사는 "쥐 실험 결과가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면 오렉신을 노인성치매 치료의 표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