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소비자물가가 4.3% 오르며 가파른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하지만 수요부문의 압력이 여전히 거센 상황에서 환율급등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전월세난 지속 등 물가상승 요인들이 산적해있기 때문에 아직은 불안이 가시지 않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올 들어 9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5%로 정부의 올해 목표치인 4.0% 달성은 이제 사실상 물건너갔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3%를 기록, 8월의 5.3%에 비해 1%포인트 하락했다. 9월 소비자물가는 전달에 비해서는 0.1%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에 비해 2.3%오른 가운데 그동안 물가상승의 주범이었던 농산물 가격은 0.7% 하락했다. 반면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6.7%와 8.1% 올랐다. 공업제품의 경우 금반지 가격 급등(36.2%) 등으로 7.7% 상승했으며 서비스부문은 2.8%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크게 떨어졌지만 올 들어 9개월 연속 4%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9월 근원물가지수가 3.9%(전월 대비)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근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로는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근원물가지수 3.9%는 물가압력이 공급측면에서 수요측면으로 옮겨붙었다는 의미”라며 “물가상승이 향후 생각보다 오래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환율급등에 따른 공업제품 가격 상승, 공공요금 인상 등 가시적인 상승 요인들도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월ㆍ달러 환율은 지난 9월 1일 1,062원에서 4일 현재 1.194원으로 12.4%나 급등했다.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원ㆍ달러 환율이 10% 오를 때 소비자물가는 0.8%포인트 올라간다. 기획재정부도 “환율의 변동성 확대가 물가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했다. 공공요금의 경우 서울시가 이달부터 시내버스와 지하철 요금을 각각 200원씩 올릴 계획이며 앞서 지식경제부도 우편요금을 20원씩 올리겠다고 밝혔다. 도시가스와 상수도 요금 등도 가격 인상이 추진되고 있다. 서민들의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전월세 가격도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9월 집세 가격은 전년 동기에 비해 4.7% 올랐으며 전월에 비해서도 0.4%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전세가 5.4%, 월세는 3.1%올랐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목표가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 경기침체 우려 등 글로벌 경기불안 가중으로 경기방어에 집중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등 강력한 물가안정 대책은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최근 “경제에 무리를 주면서 물가 상승률 목표치를 달성하지는 않겠다”며 사실상 금리동결 방침을 밝혔다. 이재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정부에서 개별품목의 물가관리를 열심히 하는데 이런식으로는 전반적인 물가잡기에 한계가 있다”며 “환율변동이 물가에 영향을 끼치는 전가효과의 경우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을 강하게 추진할수록 이 효과가 낮다는 결과가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중앙은행은 물가에 신경을 쓰는 게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준협 연구위원은 “소비품을 중심으로 중국 물가의 급등세가 우리나라 물가로 전가될 가능성도 높다”고 내다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