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금융위원장 사실상 개입

[대주단 "추가 대출 의향"] 삼부토건 법정관리 차단 위해… 방치땐 부실 확대 우려

삼부토건의 법정관리 신청 소식이 전해진 지난 12일 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당혹스러움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LIG건설 등의 법정관리 신청에 따른 후폭풍이 채 가시기도 전에 도급 순위 34위의 삼부가 법정관리를 신청하고 그것도 금융권과 제대로 된 협의도 거치지 않았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당국은 곧바로 금융권과 삼부 측의 추가 협의 필요성을 얘기했고 심야 협상이 본격적으로 진행됐다. 그리고 다음날인 13일 오전 김 위원장은 한 포럼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법정관리 신청에 대한) 법원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좋은 답’을 찾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원만한 해결책을 찾도록 에둘러 압박했다. 김 위원장이 삼부의 법정관리에 대해 이처럼 적극적으로 나선 것에는 나름 이유가 있었다. 당국의 한 관계자는 “법정관리가 그룹의 ‘꼬리 자르기’로 변질되고 있는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는 우려가 정부는 물론 청와대에서도 깊게 배어 나왔다”고 말했다. 삼부의 법정관리를 방치할 경우 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가 건설사 법정관리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 의식도 발동했다. 무엇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제2의 LIG건설이 없는지 종합 점검하라”고 김 위원장에게 특별 지시한 후 건설사들의 부실이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는 점이 당국에 부담이 됐다. 당국의 고위 관계자는 “저축은행의 PF 부실이 건설사들의 경영난으로 이어지고 이것이 다시 금융권의 부실을 확대 재생산하는 상황을 조기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