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사설/9월 22일] 실업자로 내몰리는 한국의 20~30대

20~30대 취업자 수가 지난 8월 말 현재 952만6,000명으로 19년 만에 최악을 기록했다. 1990년 944만4,000명 이후 최저로 청년실업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줬다. 지난해 8월 말보다 27만6,000명, 특히 6월보다는 무려 53만명이나 줄어드는 등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국가경제의 중추라고 할 20~30대 취업자 수 급감은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20~30대 취업자 수는 1994~1997년 1,100만명선을 웃돌았으나 외환위기 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글로벌 경제위기가 계속되고 있어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암담한 전망이 우세하다. 이를 반영하듯 8월 기준 20대 실업률은 전체 평균 실업률 3.7%의 배가 넘는 8.1%나 된다. 국가의 미래를 짊어질 20대 실업률이 이처럼 높은 것은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20~30대 취업자 수가 950만명선을 유지한 것도 정부 주도의 '청년인턴사업' 덕택이다. 현재 6만6,000명이 청년인턴으로 근무하고 있으나 글로벌 경제위기 후 급조된 일터로 아르바이트 성격이 짙어 제대로 된 일자리로 보기 어렵다. 하반기 중 계약이 끝나면 실업자가 될 판이다. 4년제 대졸자도 10명 중 정규직 취업자가 불과 4명으로 나머지는 임시직에 만족해야 하는 등 취업의 질과 양 모두 나빠졌다. 취업하기가 어렵자 휴학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급증하는 비생산적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학생 중 휴학 경험자가 39.3%인 40만2,000명으로 지난해보다 8만4,000명이나 늘었다. 경제위기에는 고용환경이 나빠지는 것을 피할 수 없지만 역동적으로 일해야 할 20~30대가 가장 큰 피해자라는 점이 문제다. 경제가 회복조짐을 보이자 대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늘리고 있지만 급증하는 청년실업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경기회복과 투자활성화로 일자리 창출이 선행돼야 하지만 취업자도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이와 함께 올해 끝내기로 한 청년인턴사업을 내년까지 연장하고 임금수준을 낮춰서라도 일자리 나누기 운동을 펴는 등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