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동북아 美 입김 강화우려 서둘러 방한

한미FTA 체결이후 '한중FTA'에 몸달아
교역액 2,000억弗 조기실현등은 공감대
BDA관련 中특사 평양 파견여부도 주목

한덕수(오른쪽)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세종로 종합청사 회의실에서 방한한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 면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이후 중국 내부에서는 동북아시아에서 중국의 경제ㆍ외교ㆍ안보 주도권이 약해지고 미측으로 쏠릴 것을 우려하는 시각이 팽배하다고 정부 당국자가 귀띔했다. 미국에 맞서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3(한ㆍ중ㆍ일)’, 아태경제협력체(APEC) 등을 통한 협력을 강화하고 유엔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중국 안에서 커지고 있는 것도 같은 줄기다. 노무현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의 10일 회동은 힘의 균형에 이처럼 미묘한 변화가 생기는 시점에 이뤄졌다. 원 총리의 측근인 구안 안핑이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예정에 없던 서울 방문을 위해 일본 일정을 이틀 단축했다”며 “이는 중국이 한국을 동맹국으로 본다는 메시지”라고 언급한 점은 이런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원 총리가 산적한 정치ㆍ외교 현안에도 불구하고 한중 FTA를 이날 회동의 핵심 의제로 올린 것도 이런 흐름과 맞닿아 있다. ◇FTA 체결, 몸 달은 중국에 한국은 우보(牛步) 전략=지난 4일 베이징 주재 한국 특파원들과 만난 원 총리는 “양국간 FTA 공동연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FTA를 조속히 체결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미 FTA 체결 이후 중국이 몸이 달아 있음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원 총리는 이날 회동에서도 조속한 한중 FTA 체결에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노 대통령은 외견상은 한중 FTA 체결의 필요성에 공감의 뜻을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한국의 솔직한 속내는 급할 게 없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도 지금까지의 준비 상황에 맞춰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으로선 한미 FTA 외에 추가로 임기 안에 중국과의 FTA를 서두를 이유가 없다고 보는 셈이다. 한덕수 총리가 9일 국회 대정부 질의 답변에서 “한중 FTA 협상이 차기 정부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고 밝힌 점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않다. ◇셔틀 노선 등 미시적 경협 방안에는 합의=양 정상이 연초 합일점에 이르지 못했던 김포와 상하이를 잇는 셔틀 노선을 개설하는 데 의견을 모은 것은 주목할 만하다. 하네다~김포에 이어 일본과 중국은 하네다와 상하이간의 셔틀 노선을 추진 중이고 여기에 김포~상하이 셔틀 노선까지 만든다는 데 공감대를 나눔으로써 이른바 ‘3각 셔틀’노선이 현실화할 시간도 머지않게 됐다. 양 정상은 이와 함께 근로자 파견제 등 현안 문제는 물론 수교 20주년을 맞는 2012년까지 교역액 2,000억달러로 잡았던 무역 목표치를 조기 실현하자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 ◇중국, 대북 특사 파견할까=외교적 측면에서 볼 때 원 총리의 방한은 양국 차원을 넘어 더 큰 의미에서 상징성을 가진다. 우연하게 이날 미국의 6자 회담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가 서울을 찾았다. 외교소식통은 “코앞으로 다가온 2ㆍ13 베이징 합의에 다른 60일 이행시한(14일)을 감안할 때 이번 정상회담으로 BDA 문제와 관련된 해법을 도출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의 특사가 평양을 방문해 일거에 국면을 타개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노 대통령이 지난해 후진타오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후 중국 측은 탕자쉬안 국무위원을 북한에 보내 북핵 문제의 물꼬를 튼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