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보고서 "규제 줄여 한국형 IB 육성해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투자은행(IB)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나오고 있지만 IB 육성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3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형 투자은행의 진로'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국내 금융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미성숙 단계인 우리나라의 투자은행업을 한 단계 발전시켜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영업 관련 규제를 지속적으로 완화해 IB의 기능은 최대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효과적인 위험관리와 적절한 감독으로 취약점을 보완해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IB 업무를 활성화하려면 인수합병(M&A) 자문이나 자기자본투자(PI)와 같은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해야 한다"며 "IB 분야에 증자나 전략적 제휴를 통해 덩치를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M&A 중개 등 경쟁력 있는 부분을 특화하고 민관 협력체제를 만들어 글로벌 투자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대주주에 의한 잦은 경영진 교체는 단기성과 추구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가져온다"며 "대주주는 장기비전을 가지고 안정적인 성장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