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1400년전 태극문양' 공개

나주 복암리서 백제시대 목간 28점도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1400년 전 태극문양과 부여 이외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된 백제목간(木簡)이 공개됐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범)는 3일 나주 복암리 고분군(사적 404호) 주변 지역에 대한 지난해 발굴조사에서 이미 공개한 3점 외에도 28점의 백제목간이 더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보존처리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 의뢰, 완료했다고 밝혔다. 목간이란 지방 관청에서 공납과 그 과정을 기록하거나 관청에서 문서나 물건을 운송할 때 기밀 유지를 위해 사용하던 것으로 이번에 발견된 목간은 종류가 다양한데다 태극무늬 목제품도 함께 발견돼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이번에 발견된 태극무늬 목제품 한 쌍은 백제 사비 시기(538~660년)인 7세기 초반 것으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경주 감은사지 장대석에 부조된 태극문(682년)보다 앞서는 것이다. 김 소장은 이와 관련, “백제 지역에서는 목간 출토량이 가장 많았던 능산리사지(37점) 다음으로 많은 31점이 발굴됐다”며 “백제의 중앙이 아닌 지방에서 발견된 목간인데다 종류와 내용이 다양해 백제사, 특히 백제 지방통치제도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새로 공개한 28점 중 13점은 묵서(墨書ㆍ묵글씨)가 잘 남아 있고 판독이 가능하며 종류는 문서 목간, 물품 꼬리표(付札) 목간, 중국에서는 봉검(封檢)이라 불리는 문서봉함 목간(封檢), 다면(多面) 목간(나무의 여러 면을 깎아 글씨를 쓴 목간), 습자(習字) 목간(글씨 연습용) 등이 포함돼 있다고 연구소는 밝혔다. 이 중 한 목간은 길이가 60.8㎝, 너비 5.2㎝, 두께 1㎝로 지금까지 국내에서 출토된 목간 중 가장 크며 ‘대사촌(大祀村)’이라는 마을의 인명과 가축 실태, 그리고 수전(水田ㆍ논), 백전(白田ㆍ미상), 맥전(麥田ㆍ보리밭 혹은 보리논) 등과 같은 토지 경작 형태를 보여주는 내용이 기록돼 있다. 이와 함께 ‘형(形)’이라는 토지 단위 및 ‘72석(石)’ 등의 소출량을 찾아볼 수 있어 백제 경제사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고 연구소는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