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지방이전] 기존 본사사옥 어떻게

매각 통해 이전비용 충당할듯


정부가 24일 176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대상지역을 확정ㆍ발표하면서 대형 공공기관들의 기존 본사 사옥 처리문제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가 지방이전에 따른 재원을 각 기관들이 자체 조달하는 것을 원칙으로 정한 만큼 기존 청사 부지는 이들 기관이 이전비용을 마련하는 데 가장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개발 가능한 노른자위 땅 많다=대형 공공기관들이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민간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청사 매입을 추진할 전망이다. 대부분 서울시내 요지에 자리잡고 있는 금싸라기 땅이어서 투자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곳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한국전력 사옥. 강남에서도 노른자위에 있어 개발가치가 높아 기업들이 가장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지은 지 오래돼 개발의 필요성이 큰 곳들도 많아 건설업체 등 각 기업간 매입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기반공사(의왕시 포일동), 한국정보문화진흥원(강서구 염창동)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의 한 관계자는“사옥이 낡은데다 주변이 최근 아파트 등으로 개발되고 있어 예전부터 매각 등을 검토해왔다”며 “입지여건이 좋아 매각할 경우 사옥 지방이전 비용을 마련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해당 공공기관들은 사옥 매각 여부에 신중한 입장이다. 한전 측은 지금까지는 사옥을 매각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굳이 사옥을 매각하지 않고도 충분히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 이유다. ◇신도시 내 사옥 처리가 고민거리=당장 문제가 되는 곳은 분당ㆍ평촌 등 신도시 내에 자리잡고 있는 주요 공공기관 사옥들이다. 분당의 토지공사ㆍ주택공사ㆍ가스공사와 평촌의 석유공사가 대표적이다. 이들 사옥은 신도시 내에서도 핵심 지역에 위치해 있어 입지여건은 뛰어나지만 현실적으로는 매각이나 개발 등 어느 쪽도 쉽지 않다는 게 문제다. 사옥규모가 큰데다 건축 당시 고급자재를 사용하는 등 효율적 토지이용보다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 등 외관에 초점이 맞춰져 지어진 만큼 웬만한 대기업조차 선뜻 매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 용도변경을 통해 아파트 등 다른 용도로 개발하기에도 어려움이 많다. 택지개발지구 내 토지의 용도를 바꾸려면 도시계획을 변경해야 하는데 이 경우 자칫 인근 지역주민들과의 마찰은 물론 특혜시비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