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출범 이후 전(前) 경제부총리라는 꼬리표를 달아준 인물이 벌써 3명으로 늘어났다. 김진표ㆍ이헌재에 이어 한덕수 부총리까지 가세하게 된 것. 권오규 청와대 정책실장이 새 부총리로 내정됨에 따라 참여정부는 이로써 4명의 경제 수장을 배출하게 되는 셈이다.
흥미로운 것은 참여정부 경제 수장들은 처음에는 하나같이 노무현 대통령과 ‘각별하기 이를 데 없는 인연’을 과시했으나 퇴임 과정은 언제나 석연치 않았다는 점이다.
참여정부 첫 경제부총리인 김진표씨. 그 당시 인수위원들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노 대통령은 그를 경제부총리로 임명했다. ‘노 대통령의 의중을 가장 잘 읽고 있는 인물은 김진표씨이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김 전 경제부총리가 옷을 벗은 것은 표면적으로는 국회의원 출마였지만 청와대와의 갈등이 한몫을 했다. 아울러 시장에서는 ‘세제만 아는 경제부총리였다’는 냉혹한 평가가 뒤따랐다.
노 대통령이 ‘삼고초려’를 통해 모셔온(?) 이헌재씨의 경우 부동산 투기 문제가 퇴임의 결정적 사유가 된 것처럼 보였으나 취임 이후 지속된 386세대와의 갈등이 더 근원적인 원인을 제공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지금까지 받고 있다.
곧 물러날 한덕수 부총리 역시 노 대통령과 코드를 잘 맞춘 인물로 꼽힌다. 일례로 그는 노 대통령이 역점을 두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관철을 위해 최일선에서 부정적인 여론과 맞서 싸웠다. 그에 대해 시장에서는 ‘가장 노무현식’에 가까웠다는 평가마저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 부총리 역시 5ㆍ31 지방선거의 여당 패배 요인으로 경제정책 실정이 지목되면서 경제 수장이라는 타이들을 놓게 됐다.
후임 부총리로 내정된 권오규 청와대 정책실장은 첫 출발 과정부터 ‘대통령의 심복’이라는 칭호를 받고 있지만 곧 대선정국이 시작되는 판국이라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참여정부 들어 ‘정치논리’가 권위주의 시절 보다 오히려 득세하고 있다는 평이 나올 정도로 과천 관가의 힘은 그 어느 때보다 빠져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황에서 신임 부총리로 내정된 권오규씨에게 시장이 요구하고 있는 것은 바로 ‘경제 리더십의 회복’이다. 권 부총리 내정자에게 ‘청와대와의 코드’ 못지않게 ‘시장과의 코드 맞추기’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