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길승 전경련 호’의 과제

전경련의 28대 회장으로 추대된 손길승 SK그룹 회장이 이를 수락함으로써 우리 경제의 불확실성 하나가 덜어졌다. 경제에 적신호가 올려졌음에도 차기정부는 재벌개혁을 외치고, 전경련은 차기정부의 정책색깔이 사회주의적이라고 서로 날을 세워왔다. 차기 정부가 상대하기에 부담스럽다고 판단했음 인지, 회장 물망에 오른 오너 경영인들이 저마다 이를 맡지 않겠다고 손사래를 쳤다. 차기 정부가 경제정책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실물쪽을 맡고 있는 재계의 견해를 반영해야 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절차다. 그런데도 정부와 전경련 사이에 정책조율은커녕 사사건건 마찰음이 터져 나와 새해 들어 가뜩이나 고조되고 있는 경제위기감을 증폭시켰다. 손회장은 전문경영자 출신이다. 전통적으로 오너 경영자가 맡았던 전경련 회장을 전문경영인이 맡게 된 것은 시대적 요구에도 부합된다. 기업경영에서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통한 경영전문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터에 전경련 회장은 소유경영자여야 한다고 고집하는 것은 시대적 변화추세에 맞지 않는다. 경영에서 오너경영인과 전문경영인을 차별하는 것 자체가 낡은 사고 방식이다. 전경련과 같은 성격의 단체인 일본의 게이단렌(經團連)은 전통적으로 전문경영인이 회장을 맡고 있다. 이전에도 유창순 회장과 홍재선 금성방직 사장 등 전문경영인 출신이 전경련회장을 맡은 적이 있었지만 이처럼 달라진 시대여건을 감안한다면 손회장의 취임이 갖는 의미는 각별한 것이다. 손회장은 경영개혁에 대한 마인드가 탁월하고, 한ㆍ중ㆍ일 자유무역지대(FTA)의 결성 과 같은 폭 넓은 경제비전의 소유자로 정평이 있다. 대인관계도 원만해 정계를 비롯한 각 분야에서 소문난 마당발로 통한다. 개혁성향의 차기 정부를 상대로 안정성향의 재계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일을 맡기에 손 회장만한 경륜이나 적임도 드물어 보인다. 손회장 체제의 전경련이 순항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경련 내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회원사가 회장에게 힘을 실어주지 않는다면 전경련 회장은 정부와 재계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를 면치 못할 것이다. 이건희 삼성회장 등이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는 것은 고무적이다. 재계의 내부협조 가운데 보다 중요한 것은 개혁할 것은 능동적으로 개혁하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차기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재벌개혁 과제들은 대부분 필요성이 인정되는 것이고, 기업의 사활이 걸린 것도 아니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정부도 재계의 주장에 대해 반개혁적이라고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게 아니라 정책의 성공확률을 높이는 조언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온종훈기자 jhohn@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