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작 '할로겐 시험분석법' 국제표준 채택

기술표준원·삼성·LG등 공동 개발
최종인증만 남아… 업계 환경규제 비용 크게 줄듯

삼성전자, LG전자 등 10여개 민간 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개발한 '할로겐' 시험분석 방법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것으로 확인됐다. 할로겐은 TV, 반도체 등 전자제품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성분의 한 종류로 현재 유럽 등을 중심으로 여러 국가에서 6대 환경유해물질(납, 수은, 카드뮴 등) 외에 법적으로 추가로 사용금지 품목에 넣으려는 유해물질이다. 이에 따라 국내 전자업계는 환경규제 대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됐다. 22일 관련기업과 기술표준원 등에 따르면 민관이 공동으로 세계에서 첫 번째로 개발한 할로겐 물질 시험분석 방법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돼 최종 인증절차만 남겨놓고 있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민관이 합동으로 개발한 시험분석 방법이 최근 국제전기표준회의(IEC)에서 채택돼 국제문건으로 정식 등록이 됐다"며 "현재 최종 인증을 위한 후속 절차를 밟고 있다"고 전했다. IEC는 우리 제안을 토대로 각 국가들로부터 의견을 접수 받는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인증하게 된다. 이 관계자는 "국제문건으로 등록된 자체가 사실상 우리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정식 채택된 것이나 다름 없다"며 "여러 국가에서 6대 물질 외에 할로겐도 환경유해물질로 규정해 추가로 사용금지 품목에 넣으려고 하고 있어 우리 입장에서는 이에 대해 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고 전했다. 이번 국제표준 채택은 민간 기업에서 제안하고 정부가 이를 뒷받침해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산화연소 장치를 이용해 할로겐 물질을 검출하는 이 방식은 삼성전자, LG전자 등 10여개 민간 기업과 기술표준원이 4년 간 연구 끝에 개발했다. 만약 우리 분석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인정 받지 못했다면 할로겐이 공식적으로 유해물질로 지정됐을 때 국내 기업은 해외 인증기관을 통해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 등 막대한 비용을 부담할 수 밖에 없다. 현재 여러 유해환경물질의 경우 외국이 국제 표준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이 해외 업체 등에 의뢰해 유해물질 분석을 의뢰하는 비용만도 연간으로 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기업이 앞장서고, 정부가 지원해 유해물질 시험분석 방법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된 것은 극히 드문 일"이라며 "할로겐이 유해물질로 공식적으로 지정되고, 국제표준으로 최종 인증되려면 적잖은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지만, 앞으로 강화될 할로겐 사용금지에 우리 기업이 먼저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고 전했다./ljb@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