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구제금융 법안이 하원에서 통과됐다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6일 원ㆍ달러 환율이 한때 1,300원에 육박하며 외환시장이 거의 패닉 상태를 보였다. 이날 원ㆍ달러 환율은 45원50전이나 폭등한 1,269원으로 마감해 6년5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지만 외환 전문가들은 단기과열 현상으로 언제든 1,300원을 넘어설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도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시장상황과 관련해서는 글로벌 금융기관의 유동성 부족, 세계경제 침체 우려, 부동산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 등 악재가 겹치면서 금융시장에서 불안감이 사라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문제는 이 같은 달러 가뭄의 장기화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우리 외환시장이 받고 있는 충격 역시 다른 나라에 비해 크다는 점이다. 이날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이 “외환 당국의 지원에만 의존하는 도덕적 해이는 없어야 하며 은행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언제 끝날지 모르는 유동성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가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이날 한국은행은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를 통한 은행권 지급준비율 완화에 나설 계획임을 밝혔다. 국내 은행들 역시 최근 외화증권 조기 매각이나 대기업 외화예금의 국내유치 등을 통해 외화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그러나 은행들의 자구 노력에도 한계가 있음은 물론이다. 외화자산 가운데 유가증권의 비중이 낮기 때문으로 따라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외화대출이나 수출환어음 매입 등을 줄일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우리 금융시장은 개방폭이 넓으면서도 그동안 구조적으로 안정성 확보에 취약했던 측면이 없지 않다. 외국인들의 대규모 주식매도에 대응해 외환시장이 달러 상승 압력을 흡수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보유외환을 푸는 데도 적정 시기를 놓쳤다. 따라서 이제는 위기극복을 위해 정부는 물론 기업과 국민 등 모두가 나서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
무엇보다 기업의 수출확대를 위해 중소기업 대출회수를 자제하는 등 금융불안이 국내경기 악화와 맞물리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민들 역시 과도한 해외 소비를 줄이는 등 불필요한 외화낭비가 없어야 한다. 끝없이 치솟는 환율에 모든 경제주체들이 힘을 모으는 범국민적인 대응이 절실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