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기업여신관리 대폭 강화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기업대출 연체율이 급증하자 은행들이 앞 다투어 기업여신 조기경보시스템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조기경보시스템은 은행이 대출해준 기업의 부실발생 가능성을 미리 체크해 대출회수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20일 금융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최근 조기경보대상 기업여신에 대해 `푸쉬아웃(Push Out)`제도를 만들어 실행에 들어갔다. 푸쉬아웃제도란 조기경보시스템상에서 이상징후가 포착된 기업에 대한 여신을 최대한 회수하는 한편 신규여신을 중단하는 것을 말한다. 또 조기경보시스템상에서 위험기업으로 2회 이상 분류된 기업에 대해서는 기업신용평가를 새로 실시하는 등 심사요건을 더욱 까다롭게 설정했다. 국민은행도 최근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급증하면서 조기경보시스템을 재조정했다. 국민은행은 과거 조기경보시스템에 너무 많은 변수들이 들어가 오히려 정확성이 떨어졌다고 보고 재무상태와 핵심변수들만 입력하면 되는 새로운 조기경보시스템을 지난 3월말부터 운영하고 있다. 또 은행이 일일이 확인하기 힘든 어음할인 등 단기금융시장 정보를 취합하기 위해 명동의 어음중개업체인 중앙인터빌과도 정보교류를 실시하고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명동의 사채업자들이 기업의 단기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은행들도 사채시장의 정보를 대출심사에 적극 활용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밖에 조흥은행은 과거 6개월마다 실시하던 기업신용평가 기간을 4개월로 줄였고 하나은행도 각 분기별로 결산결과가 나오는 즉시 기업에 대한 신용평가를 다시 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이 같은 은행들의 조기경보시스템 강화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코스닥 등록업체인 K사 관계자는 “은행들의 조기경보시스템 강화로 최근 경영실적이 부진한 정보통신 관련 코스닥 등록업체들이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며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한 두루넷과 온세통신 등이 이 같은 여신관리 강화의 최대 피해자”라고 불만을 터트렸다. 그는 “은행들의 리스크 관리 강화가 단기적인 대출금 회수에만 초점이 맞춰져서는 안된다”며 “기업의 종합적인 성장가능성을 고려한 여신정책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