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국민의식 조사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를 겪으면서도 경제활동에 있어 연고가 더 중요시되는 등 경쟁풍토와 기초질서 의식은 오히려 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들은 현재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제의식 개혁이 필요한 주체로 기업인과 공무원, 공공부문종사자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98년 11월(1차), 99년 11월(2차), 2001년 1월(3차) 등 세차례에 걸쳐 국민 1,003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해 분석한 'IMF 경제위기와 국민경제의식 변화에 관한 연구' 결과를 15일 공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매매ㆍ거래ㆍ고용계약 등 경제활동에서 '경쟁'과 '연고' 중 어느 것이 더 중요시되고 있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연고가 중요시된다는 응답이 49.3%로 경쟁이 중요시된다는 응답인 45.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96년 4월과 98년 11월의 동일한 설문 조사결과 경쟁이 중요시된다는 응답이 각각 57%, 57.1%로 과반수 이상이었던 것과 비교해볼 때 경쟁풍토가 아직 정착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KDI는 설명했다.
또 기업의 경영진이 부실경영에 대해 책임을 지려는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90.7%가 '책임의식이 약한 편'이거나 '전혀 없다'고 응답해 기업인의 책임의식에 대한 평가가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MF 체제 1년 후인 98년의 87.3%보다 더 나빠진 것이다.
KDI는 "대우사태와 현대사태 등으로 불거진 기업 경영주들의 전근대적인 경영형태는 물론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 등이 국민들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경제의식 개혁이 필요한 주체로 기업인과 공무원이 1순위로 꼽혔다.
응답자의 32.9%가 기업인의 의식개혁이 가장 시급하고 다음으로 공무원, 공공부문종사자(32.8%)의 개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DI는 "IMF 체제 1년 후인 98년 말의 조사결과 역시 기업인(34.7%)과 공무원,공공부문 종사자(29.3%)가 가장 개혁이 필요한 주체로 지적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이 두 경제주체의 의식개혁이 여전히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 국민의 상당수는 우리 사회의 총체적 거품이 여전히 빠지지 않고 오히려 IMF 후 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민의 64.3%가 우리 사회의 총체적 거품이 여전히 빠지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이는 2년 전에 응답했던 40.6%보다도 크게 늘어난 것이다.
KDI는 "과시소비ㆍ충동구매ㆍ모방소비 등 비합리적 소비행태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국민들도 68.8%에 이르고 있고 이 결과 역시 2년 전의 37.7%의 응답률보다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용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