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日, 동아시아 통화스와프 대전

中, 태국·파키스탄 등 총 14개국과 계약 잇달아
日은 인도와 최대 100억弗 규모 협정 검토 나서


유럽 재정위기와 맞물려 동아시아 지역에서 중국과 일본의 통화 스와프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중국은 금융불안이 확산되고 있는 동아시아 신흥국과 통화 스와프 체결을 통해 위안화의 국제화와 정치ㆍ경제적 영향력 확대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도 인도와 통화 스와프 협정 체결을 적극 검토하는 등 중국 견제에 나서고 있다. 통화 스와프는 동아시아 2대 강국인 중일 패권 경쟁의 축소판인 셈이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24일 홈페이지를 통해 파키스탄 중앙은행과 100억위안(15억8,000만달러) 규모의 통화 스와프 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인민은행은 "지역금융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동시에 양국 간 금융ㆍ무역ㆍ투자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파키스탄은 금융위기 발생시 중국으로부터 긴급자금을 수혈받을 수 있게 되고 파키스탄 수입업자들은 앞으로 중국 상품에 대해 위안화로 결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 같은 경제적 목적 외에도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군의 오폭으로 미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파키스탄을 우방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정치적 측면도 큰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에 앞서 중국 인민은행은 22일 태국 중앙은행과도 700억위안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바 있다. 이로써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달러화의 위상이 떨어진 후 중국 정부가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한 나라는 14개국으로 늘어났다. 규모도 1조3,000억위안(약 234조여원)에 이른다. 중국의 이 같은 잇따른 통화 스와프 체결은 최근 주춤한 위안화의 국제화 작업에 속도를 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위안화 무역결제액은 올 3ㆍ4분기 5,830억위안으로 전분기의 5,970억위안보다 오히려 줄면서 2009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중국은 자본거래의 개방화가 크게 낮아 위안화가 국제무역 거래에서 공식적인 결제통화로 인정받는 데 근본적인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주변국들과 통화 스와프 체결을 통해 이 같은 한계를 돌파하는 동시에 정치ㆍ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심사다. 중국의 위상을 약화시키기 위한 일본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먼저 일본은 중국과 앙숙 관계인 인도와 통화 스와프 체결을 서두르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5일 일본 정부가 인도 정부와 최대 100억달러에 달하는 통화 스와프 체결을 위한 검토작업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양국은 오는 28일로 예정된 정상회담에서 이를 논의할 계획이다. 신문은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은 중국을 견제하고 역내 금융협력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이 다분하다고 분석했다. 또 최근 유럽 채무위기로 신흥국들의 자금유출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일본 기업들의 유력 시장인 인도의 경제혼란을 미연에 방지하려는 목적도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는 10월에도 한일 통화 스와프 규모를 기존의 300억달러에서 700억달러로 늘리기로 합의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