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 고금리상품으로 돈 몰린다

국내외 금융불안 여파 MMDA등에 자금 유입 급증
은행권도 파격 금리 내세워 적극 유치 나서


국내외 금융불안 여파로 은행권의 단기 고금리 금융상품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 3일 금융계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로 시중자금이 수시입출금식예금(MMDA)나 회전식 정기예금 등 초단기 고금리 예금상품으로 몰려들고 있다. 기관투자가는 물론 개인들도 금융시장의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자 신탁상품이나 MMF 등 실적배당 상품에서 빠져나와 원금이 보장되는 은행권의 초단기 고금리 상품을 찾고 있다. 은행권 역시 이런 추세에 맞춰 3개월 만기 예금에 1년 정기예금 금리와 비슷한 6%대를 제시하거나 하루 단위로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MMDA 상품에 5%대 금리를 내걸고 시중자금을 빨아들이고 있다. 우리은행의 MMDA 잔액은 지난 8월 말 12조7,000억원대에서 9월 말에는 16조1,000억원으로 3조4,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지난달 14일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안전자산을 쫓는 일반 법인 및 기관투자가들의 자금이 대거 유입됐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의 MMDA 잔액도 8월 말 12조1,000억원대에서 9월 말 16조9,000억원대로 무려 4조8,000억원 이상 늘었다. 박동영 우리은행 자금부장은 “리먼 사태 이후 채권 금리가 이상 급등하는 등 금융불안이 심화되자 기관이나 법인의 여유자금이 실적배당 상품에서 이탈해 원금이 보장되는 은행권 단기 상품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은 이런 단기 자금을 더 끌어들이기 위해 금리를 상향 조정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9월22일부터 이달 말까지 1,000만원 이상 예치를 조건으로 3개월 만기 회전식 정기예금의 금리를 5%대 초반에서 6.1%로 끌어올렸다. 이 같은 파격적인 금리 우대에 힘입어 하나은행의 회전식 정기예금 잔액은 8월 말 7조7,000억원대에서 9월 말 8조7,000원대로 1조원가량 늘었다. 우리은행도 1,000만원 이상을 예치할 경우 단 하루만 맡겨도 연 4% 이상의 금리를 적용하고 100일이 넘으면 연 5.5%의 고금리를 지급하는 ‘고단백 MMDA’ 상품을 내놓았다. 금융시장 불안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단기 자금을 최대한 끌어들이겠다는 전략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은행으로서는 1년 이상 정기예금을 유치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자금운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하지만 유동성이 빠듯한 상황이라 금리 인상 등을 통해 초단기 자금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