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호선 개통으로 구간중복 버스 '타격'

강서노선 승객 절반 가까이 줄어 '울상'


지하철 9호선이 개통된 후 중복된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들이 승객 수 감소로 울상을 짓고 있다. 특히 9호선의 주요 구간과 겹치는 강서 지역 버스 노선은 승객 수가 절반 가까이 줄어 버스 노선의 조정 필요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13일 한국스마트카드에 따르면 지하철 9호선 개통일(7월24일)을 전후해 9호선과 노선이 중복되는 버스들의 ‘티머니’ 탑승객 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최대 45.3%까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행구간이 방화동에서 고속터미널까지로 9호선과 흡사한 642번의 경우 9호선 개통 후 하루 평균 승객 수가 7,661명(7월27일~9월6일)으로 개통 전(6월15일~7월19일)의 1만3,999명보다 45.3% 줄었다. 6632번(방화동~당산역)과 6633번(방화동~여의도)은 같은 기간 각각 38.6%, 36.3% 감소했다. 또 방화동과 영등포역을 오가는 6631번은 22.9%, 방화동에서 대흥사거리까지 오가는 6712번은 22.9% 감소하는 등 강서 지역 중복 노선의 감소폭이 컸다. 지하철 9호선 개통 이후 버스 승객 수가 급감하자 이들 지역의 버스업계 등은 버스 노선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의 한 관계자는 “9호선 개통으로 중복 노선 차량은 운행 횟수를 줄이거나 다른 노선으로 돌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이달 중 노선 개정 작업이 마무리되면 버스 노선 조정심의회 심의를 거쳐 오는 10월 말 개편 노선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