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로 도약하는 한국건설] 신도시 수출 "뭉쳐야 돈된다"

수익 극대화위해 '정부+민간' '시행+시공' '건설+IT' 등 융합 필요

한국형 신도시 수출이 해외 수출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민간' '시행+시공' '건설+정보기술(IT)' 등 각 분야의 융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의 해외 신도시 개발 성과를 보면 대형 민간 건설업체들이 단독으로 진출하거나 토지공사 등 공기업이 정부와 협력해 PM(Project Management)사업 등을 맡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이 같은 구조로는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렵고 수익성도 떨어진다는 것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 ▲해외 종합정보망 구축 ▲금융 패키지 활성화 등을 향후 신도시 수출 사업의 시급한 과제로 꼽고 있다. 일단 지난해 금융위기에서도 경험했듯 대형 개발사업은 세계경제 위기에 따라 한순간 흔들릴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정보와 리스크 감지를 위한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황기현 한국토지공사 해외사업기획단장은 "해외 신도시 수출 업무가 국토해양부ㆍ지식경제부ㆍKOTRA 등으로 분산돼 있고 정보체계도 해외건설협회ㆍKOTRA 등으로 나눠져 있다"며 "이같이 분산돼 있는 조직체계와 정보체계가 하나로 통합되면 신도시 수출에 시너지가 생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구축돼 한국형 신도시 수출 사업이 국가 프로젝트급 사업으로 격상되면 사업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할 수 있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도 좀더 쉽게 해결될 수 있다. 김규현 한미파슨스 전무는 "정부 주도로 조성된 펀드가 해외 신도시 수출 사업에 참여할 경우 민간 금융회사들을 끌어들이는 일이 쉬워진다"며 "지금과 같은 각개격파식 진출은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어느 정도 헤지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단순한 '주거 도시' 수출이 아닌 IT 등 각종 첨단기술 분야가 결합된 '디지털 도시' 수출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권준철 한국유비쿼터스도시협회 사업협력팀장은 "도시 내 교통 정보망 구축, 휴대폰을 활용한 시설 이용 등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분야가 무궁무진 하다"며 "건설 분야와 정보산업 분야가 패키지로 진출할 경우 경쟁력이 크게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나라당은 최근 '해외 신도시 건설사업 지원 특별법' 제정을 추진함과 동시에 한국형 신도시 100개 수출을 위한 K100 포럼을 발족하는 등 해외 신도시 수출 사업을 국가 사업으로 추진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해외 신도시 시장규모 중 5%만 점유해도 1,105조원의 시장을 확보할 것이라는 통계가 있다"며 "이제 토목과 건축의 시대를 지나 도시 자체를 수출하는 데 국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