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공연업계 300억 vs 5억


문화체육관광부의 최근 예산항목에 300억원과 5억원이 있다. 300억원은 문체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어려움에 빠진 뮤지컬 등 공연 업계를 지원한다고 이번에 배정한 추가경정예산이고 5억원은 올해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구축에 지출하는 비용이다. 300억원이 들어가는 사업은 이른바 '공연 티켓 원플러스원(1+1)'이다. 이 사업은 공연 티켓 1장을 사면 1장을 더 얹어주는 방식이다. 플러스원(+1)값은 정부에서 보조하며 이를 위해 추경 300억원이 지출된다.

당초 지원 대상은 1장당 5만원 이하인 티켓이었다. 영세 공연 업체가 최근 메르스 사태로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이유. 그런데 뮤지컬 업계에서 반발했다. 이를 반영해 김종덕 문체부 장관은 24일 가진 출입기자단과의 취임 1주년 간담회에서 "국민이 주로 원하는 뮤지컬 관람을 늘리기 위해 티켓 가격 지원 기준을 올리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며 "그렇다고 현재 뮤지컬 평균 가격인 10만원선까지 올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뮤지컬 업계에서도 가격을 낮춰 중간선에서 적절하게 타협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공연 티켓1+1' 사업에 대해서는 여러 비판이 있었다. 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지난 6~7월에 공연을 못한 제작사나 공연장은 혜택을 보지 못하고 가을 성수기 때 잘하고 있는 곳에다 지원을 하는 꼴이니 말이다. 단체 관광객에게는 적용이 안되니 외국인 관광객 대상 공연장에는 혜택이 적다.

일회성 이벤트에 거액이 들어가고 정작 중요한 핵심 인프라에는 소홀한 것도 문제다. 공연통전망은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에서와 같이 티켓 판매 수치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고 공개하는 시스템이다. 영화 산업 발전이 영화통전망을 통해 투명해진 기획·제작·투자·배급 시스템의 혜택을 받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만큼 공연통전망도 공연 업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공연통전망 사업은 공연제작사들의 반대로 어정쩡한 상태다. 현재 시범 가동 중이지만 주요 제작사들은 대부분 빠져 있다. 내년 완전 개통이 쉽지 않은 처지다. 문제는 역시 뮤지컬 업계다. 공연 시장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들은 정보공개에 시큰둥하다.

사업을 시작한 정부가 속도를 더 낼 필요가 있다. 오는 2016년 본격 시행을 목표로 지난해 시작된 공연통전망 구축에 배정된 정부예산은 지난해 5억원, 올해도 5억원에 불과하다. 문체부 측은 내년에는 8억원을 예상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라는 충격이 있기는 하지만 단순 이벤트에 불과한 '공연 티켓 1+1'에 배정된 300억원에 비해서는 푼돈인 셈이다. 뮤지컬 업계는 '공연 티켓 1+1' 사업에 자신도 끼게 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한다. 공연 인프라 구축에도 그만큼 희생이 필요하지 않을까.

최수문 문화레저부 차장 chsm@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