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鄭체제 본격가동 파괴력 주목

■민주·통합21 '공동정부 운영' 합의민주당 노무현 후보와 국민통합21 정몽준 대표가 후보단일화 성사에 이어 13일 대선 공조ㆍ공동정부 운영방안에도 합의, '노-정' 체제가 본격 가동됐다. 이로써 노-정연대가 선거 막판 변수로 떠올랐다. 민주당은 일단 정 대표의 가세로 선거 우세를 굳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보고 있다. 민주당 이해찬 선대위 기획본부장은 "후보단일화 이후 노 후보 쪽에 몰렸다가 최근 부동층으로 바뀐 유권자들이 이번 공조 합의로 다시 돌아오게 될 것"이라며 "특히 정 대표가 단일화 전 충청ㆍ강원ㆍ영남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던 만큼 이 지역 지지율을 올리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민주당 김성호 의원도 "노ㆍ정 연대는 노 후보의 정치개혁이란 기치를 더욱 선명하게 부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면서 "선거 막판에 부동층이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쪽으로 쏠리지 않을까 우려했는데 그럴 가능성이 상당부문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노ㆍ정 연대 효과는 이미 후보단일화 때 충분히 반영된 만큼 공동 유세에 따른 추가적인 효과는 없을 것이란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정공조 합의를 위해 노 후보가 재벌개혁 문제 등에 관한 크게 후퇴한 데 따른 실망감으로 일부 지지자들이 이탈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양측이 정책공조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권력 나눠먹기를 위해 옥신각신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던 것도 민주당으로서는 부담이다. 실제 이 같은 상황을 의식, 양측은 이날 합의와 관련, "낡은 정치의 틀을 깨로 새로운 정치문화를 만들기 위해 한께 나선 것이며 97년 DJP 공조와 같이 자리 나눠 먹기와는 차원이 다르다"면서 "이에 따라 공동정부 구성에 관해서는 어떤 논의나 합의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집권 때 국민통합21 측이 일부 장관직을 맡을 지 여부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다. 한나라당 이상배 정책위의장은 "노ㆍ정 단일화는 97년 내각제 개헌을 고리로 한 DJP 공조와 마찬가지로, 2004년 개헌약속을 통한 야합"이라고 비판한 뒤 "DJP 공조로 이 나라는 부패해지고, 장관과 국영업체 사장직을 갈라 먹기 해 국정은 마비됐다"고 비난했다. 장순욱기자 김홍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