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3차 빅뱅] 4. 격변기 들어선 제2금융권

`빅뱅 태풍`은 신용카드ㆍ저축은행ㆍ대부업체 등 소비자ㆍ서민금융회사들 역시 격변기로 몰아 넣고 있다. 카드업계는 자산규모 1위사인 LG카드의 채권단 공동관리가 확정되고 삼성카드가 삼성캐피탈과 합병하기로 하는 등 `메이저`들이 구조조정의 칼날위에 서 완전히 새로운 틀을 짜게 됐다. 또 이미 모은행과 합병했거나 합병할 예정인 국민ㆍ우리ㆍ외환카드 등 대부분의 카드사들이 새로운 환경속에서 영업시스템을 재정비하기 시작했다.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대부업체들도 부실이 늘어나면서 또 한차례 인수ㆍ합병(M&A)과 퇴출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전망이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최대 저축은행인 한솔저축은행이 미국계 펀드에 팔리고 르노자동차 계열의 르노크레디트가 최근 국내 자동차 할부시장에 진출하는 등 토종과 외국계의 시장 쟁탈전도 치열해 지고 있다. ◇카드업계 판도 전면 재편= 지난해 국민카드가 국민은행에 흡수합병되고 외환ㆍ우리카드 역시 합병을 결의해 곧 은행에 편입될 예정이다. 여기에 업계 최대사인 LG카드가 채권단 공동관리를 앞두고 있어 신용카드시장은 대대적인 재편이 불가피하게 됐다. 카드업계는 채권단 공동관리 이후 LG카드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정상화되느냐가 큰 변수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LG카드사태가 상징하는 것처럼 자금력에 문제가 있는 전업 카드사들은 부실이 모두 정리되기 까지 상당기간 고전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캐피탈과 합병해 덩치를 키울 삼성카드와 국민카드를 흡수한 국민은행의 양강(兩强)구도 속에서 후발주자인 현대ㆍ롯데ㆍ신한카드 등이 어떻게 자리를 잡아갈 지, LG카드가 정상화 궤도로 빨리 진입할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다. 김상환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부실로 홍역을 치른 카드업계는 재무적 한계에 직면한 전업계 카드가 퇴조하고 자금력이 풍부한 은행계 카드가 주도권을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LG카드 정상화가 예상보다 빨라져 올 하반기쯤 새주인을 찾게 될 경우 카드시장은 또 한 차례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서민금융 급격 위축= 경기부진이 지속되고 신용불량자가 급증하면서 서민 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이나 신협 등은 올해 영업기반이 더욱 위축돼 그야말로 `생존게임`에 직면할 전망이다. 이미 수도권의 7~8개 저축은행은 계속되는 경영난을 견디지 못하고 인수ㆍ합병(M&A)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는 상태다. 전국적으로 1,078개에 이르는 신협 역시 추가적인 구조조정이 예상된다. 현재 경영관리가 진행중인 8곳을 포함해 자본금 20% 이상 잠식된 상당수 신협들이 퇴출될 것으로 보인다. 할부업계도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해 위기를 맞고 있다. 현대캐피탈이 유일한 `메이저`로 남겨지는 가운데 비교적 기반이 탄탄한 신한캐피탈 등 소수의 할부사들이 틈새시장 공략으로 살아 남는 구도가 될 전망이다. 대부업체의 경우 간판격인 대호크레디트의 부도와 국내 시장점유율 70%대를 자랑하던 일본계 A&O그룹의 급격한 퇴조로 후발 대부업체의 급부상이 예상된다. ◇외국계 자본이 변수= 외국자본은 이미 소비자ㆍ서민금융 분야에서도 급격히 시장지배력을 키워가고 있다. 최대 저축은행인 한솔상호저축은행이 지난해 미국계 퍼시픽캡 펀드에 매각돼 올해부터 한솔그룹과 공동경영을 추진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소비자금융 부문에서는 이미 개인대출 영업을 활성화하고 있는 GE캐피탈과 씨티파이낸셜이 자리를 잡은 데 이어 르노크레디트나 도요타자동차, 쌍용차 인수를 진행중인 중국의 란싱그룹이 할부시장에 진출했거나 진출을 타진하고 있어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대부업계도 상황은 비슷하다. 일본계인 아코모, 유럽계인 프로비던트파이낸셜 등이 물밑에서 국내 진출을 타진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외국자본의 2금융권 진출에 대해 시장잠식을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지리멸렬한 소비자금융시장의 선진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교차하고 있다. <김홍길기자 what@sed.co.kr>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