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은 대표적인 '고환율론자'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수장직에 오른 그는 고환율 정책을 폈다. 달러당 1,000원 수준이던 원·달러 환율은 이후 1,500원선까지 치솟았다.
고환율 정책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린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됐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일부 수출기업에만 혜택이 돌아가고 수입물가가 높아져 일반 국민 대다수가 피해를 봤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그럼에도 적정 수준에서 경쟁국의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환율은 유지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과거와 같이 국가 차원에서 환율에 직접 개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적정 수준에서 통화정책을 펴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다.
특히 최근처럼 '글로벌 통화전쟁'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우리가 괜히 희생양이 될 이유는 없다는 얘기다.
오정근 한국경제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은 "환율 덕에 일본 제품들은 거의 30% 정도 싸게 나오는데 우리나라 거의 모든 수출제품은 오히려 올려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엔캐리 트레이드로 계속 우리나라로 자금이 들어오고 있어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고 돈도 더 풀어 원·엔 환율을 안정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오 연구위원은 "오는 9월이나 10월이 되면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시간이 많지 않다"며 "더 이상 실기를 하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재계의 인식도 비슷하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기업들이 겪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환율"이라며 "적정 수준에서 경쟁국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환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외환당국의 의무이자 책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