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가 15일 '2004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를 분석,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8월 기준 정규직 근로자는 919만명으로 지난 2003년 8월 954만명에 비해 35만명이 줄었다.
정규직 근로자 수는 2003년 8월에도 1년 전에 비해 30만명이 감소, 2년 새 65만개의 정규직 일자리가 사라진 셈이다.
정규직 가운데 임시ㆍ일용직이 아닌 괜찮은 일자리로 꼽히는 정규상용직은 610만명으로 전년에 비해 9만명이 줄었다. '무늬만 정규직'인 영세취약사업장의 임시ㆍ일용직 정규근로자는 310만명으로 정규직의 3분의1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새 78만명이나 급증한 539만명을 기록했다. 2001년 360만명으로 전체 임금근로자의 27.3%를 차지했던 비정규직은 2년 새 160만명이나 급증하며 전체 임금근로자의 37% 수준에 달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저연령층 및 고령층, 고졸 이하, 단순노무직이 많이 차지했지만 20~40대 핵심근로계층, 대졸 이상자, 전문기술ㆍ사무직 등에서도 증가세가 빠르게 나타났다.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수준은 115만원으로 정규직의 65% 수준이었으며 지난해 61.3%보다 다소 높아졌다. 국민연금ㆍ건강보험ㆍ고용보험 가입률도 모두 증가해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는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정규직은 줄고 비정규직은 늘어나는 것은 일자리의 질이 갈수록 나빠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자리의 질 악화는 근로계약기간이 정해졌거나 계속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한시적 근로자가 급증한 데 기인한다.
2001년 184만명이었던 한시적 근로자는 2002년 202만명, 지난해 301만명에 이어 올해 360만명으로 급증했다.
비정규직 급증은 주지하다시피 기업들이 경기침체로 투자전망이 불확실해지자 정규직 채용을 가능한 줄이는 등 채용관행을 변경했기 때문이다.
또 기업들이 정규직 가운데 일용ㆍ임시직을 해고가 용이한 기간제로 전환하고 있는 것도 비정규직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고용유연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줄이려는 경영상 필요가 비정규직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정규직보다 유연한 근로조건을 찾아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육아ㆍ가사ㆍ학원수업 등을 병행하거나 근무시간을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장점 때문에 자발적으로 비정규직을 선택한 이들이 전체 비정규직의 27.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