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하도 상가 경쟁입찰 강행"

서울시, 강남역등 5곳…권리금 입주 기존 상인들 반발 클듯

서울시가 강남역ㆍ고속버스터미널 등 지하도상가에 대한 경쟁입찰계획을 강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비싼 권리금을 주고 영업을 하는 기존 상인들의 저항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26일 "시민의 공유재산인 지하도상가의 임차인 선정을 경쟁입찰로 진행한다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며 "그동안 수의계약으로 기존 상인들이 과도한 혜택을 받아온 점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강남역, 강남터미널 1~3구역, 영등포역 등 5개 상가는 경쟁 입찰을 통해 민간에 관리권을 넘길 예정이다. 시는 나머지 24개 지하도상가에 대해서는 3년간 연장계약을 하고 계약 만료 후에는 마찬가지로 경쟁입찰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강남역 등 5개 상가는 상가 개ㆍ보수, 지하보도 개선 및 휴게공간 확충을 조건으로 경쟁입찰에 부쳐지고 입찰 기준은 이르면 다음달 초 공고될 예정이다. 시는 "상가 단위로 입찰을 진행하되 기존 상인을 승계하는지를 평가항목에 담겠다"며 "낙찰 업체에 대해서는 시가 정한 임대료 인상 가이드라인을 어기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의 방침에 대해 상인들은 "많은 돈을 주고 들어왔는데 경쟁입찰을 하면 권리금은 한푼도 못 받고 그냥 나가라는 말이냐"며 수의계약을 연장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 강남역 등의 상가는 점포당 최대 수억원대의 권리금이 붙어 있어 상인들은 이를 보장해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따라 시 차원에서 기존 상인들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양측의 충돌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시는 경쟁입찰계획에 반대하는 운동을 주도해온 정모 전국지하도상가상인연합회 이사장을 명예훼손 및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서울중앙지검에 지난 23일 고소했다고 밝혔다. 시는 앞으로 상인들과 대화를 계속할 계획이지만 악의적인 허위사실을 유포할 경우에는 단호히 대처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