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이 깊어지면서 부도대란이 현실로 닥쳐오는 가운데 현대자동차ㆍ포스코ㆍ하이닉스 등 일부 대기업들이 협력 중소업체들을 위해 유동성 지원에 나서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지난해 12월 전국에서는 345개 기업이 쓰러졌고 이들이 결제하지 못한 금액은 1조47억원이었다. 어음사기 등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 부도금액이 1조원을 넘기는 4년 만에 처음이다. 부도기업도 3년여 만에 가장 많았다.
부도기업 급증 속에 부도금액이 대형화하는 것도 예사롭지 않다. 지난해 3ㆍ4분기 월평균 부도기업 수와 부도금액은 각각 197개와 4,140억원이던 데서 4ㆍ4분기에는 321개와 7,644억원으로 늘었다. 부도기업 수는 64%, 부도금액은 84.6%나 증가한 것이다. 부도금액이 부도업체보다 더 크게 늘었다는 것은 기업부도가 영세업체 중심에서 점차 중견기업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지방소재 기업과 서비스 업종의 부도가 크게 늘어나 기반이 약한 지방경제 침체와 고용시장 한파는 더욱 심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경기가 어렵다 보니 자금결제를 미루는 어음발행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게 문제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1,418개 회원업체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4ㆍ4분기 어음결제 비중은 45.5%로 지난 1ㆍ4분기보다 9%포인트나 증가했다. 특히 대기업체의 협력업체에 대한 어음결제 비중은 46%로 평균치를 웃돌았다. 자금사정이 어렵다 보니 대기업들이 어음을 더 많이 끊고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과 협력업체ㆍ거래은행들이 서로 돕는 상생의 지혜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대기업들은 장기어음 결제를 줄이고 현금성 결제를 늘려 협력업체와 공생을 도모해야 한다. 협력업체가 무너지면 그 충격은 결과적으로 거래업체와 국민경제 전체로 옮아갈 수밖에 없다. 은행들도 당장 눈앞의 이익만 따질 게 아니라 기술과 신용이 있는 기업에 대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자금지원을 늘려야 한다. 정부도 보증기금 등을 통한 신용보강을 강화해 일시적인 자금난 때문에 흑자도산하는 기업이 생기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