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실 통폐합을 골자로 한 이른바 ‘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이 발표된 다음날인 24일 열린 청와대 회의는 무거웠다. 노무현(사진) 대통령 주재의 참모회의와 문재인 비서실장 주재회의의 화두도 기자실 통폐합을 골자로 한 ‘취재 지원 선진화 방안’이었다. 청와대의 한 핵심 관계자는 “아침 조간 신문들의 보도가 이렇게 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느냐. 차분하지 않고 너무 감정적이다”면서 당혹감을 나타냈다. 정치권 등을 중심으로 강하게 불고 있는 반발 후폭풍에도 긴장하는 빛이 역력했다. 이처럼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부정적 기류에도, 이번 조치를 처음부터 주도한 청와대의 반응은 한마디로 ‘마이웨이’다. 통폐합을 주도해온 핵심 당사자 중 한명인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번 방안은 ‘글로벌 스탠더드’”라고 강변했다. “세계의 보편적인 관행과 일치시키는 것”이라는 지난 22일 노무현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다. ‘(정권이 바뀌는)수 개월 후면 원점으로 돌아갈지도 모르는데 이 사안을 강행하는 데 고민은 없었냐’는 질문에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어차피 가야 할 길이다. 이 문제는 참여정부가 매듭을 짓지 않으면 다음 정부에서 하기 어렵다”면서 정당성을 강조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개헌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당시에도 “다음 정권에 가면 어렵다”고 말한 바 있다. 청와대는 차제에 일선 도청 등 지방의 기자실에 대한 수술 필요성도 지적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우리가 손을 댈 수는 없지만”이란 전제를 깔면서도, “지방의 기자실이야말로 큰 문제”라고 말했다. 여론에 대해서도 일단은 자신하는 분위기다. 윤승용 수석은 “포털의 여론 조사를 보면 6대4 정도로 (이번 조치에 대해)찬성 입장이 많다”는 점도 강조했다. 언론의 반발과 여론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개헌은 당위성은 찬성하면서도 ‘임기내 개헌’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많았고, 세를 모으지 못해 접었지만 이 문제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얘기다. 하지만 속내로는 언론들의 강한 반발 기류가 여론을 바꿀 수도 있다는 점을 의식하는 빛도 엿보인다.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FTA로 끌어올린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따라서 청와대는 “시행은 8월이기 때문에 그 이전에 최대한 보완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경찰서 출입 기자들의 경우 어떻게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좀 두고 봅시다”라고 말했고, 다른 관계자는 “통합 브리핑실의 부스나 정보 공개 방법 등 다양한 부분에서 미세 조정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