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神)이 내린 직장은 "대출도 우대"

은행권, 공무원·공기업 직원들에 금리 인하등 혜택 제공

은행들이 공무원 및 공공기관ㆍ공기업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신용대출을 늘리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1일 금융계에 따르면 감독당국의 주택담보대출 및 중소기업대출 규제로 대출 대상이 줄어들자 은행들은 경쟁적으로 우대금리 등 각종 혜택을 내세워 공무원 및 공공기관 임직원에 대한 신용대출을 늘려나가고 있다. 우리은행은 기존 공무원 전용 대출이었던 ‘청백리 우대대출’과 함께 공기업 임직원을 겨냥한 ‘하이 프라이드 론’을 내놓았다. 이 대출상품은 공공기업과 지방공기업 종사자로 대출 대상을 제한하되 연소득의 200% 범위 안에서 최고 1억원까지 무담보로 대출해준다. 고정 및 변동금리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금리는 최저 연 6.55%, 1년 고정금리는 최저 6.78%이다. 우리은행과의 거래실적에 따라 최고 1.0%포인트까지 금리를 할인해준다. 농협은 공무원과 사립학교 교직원, 군인 등을 대상으로 공무원협약대출을 판매하고 있다. 대출고객들은 ▲변동금리 연 6.03% ▲고정금리 연 6.08% 가운데 택일할 수 있다. 외환은행도 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무보증 신용대출 상품인 ‘리더스론’을 판매하고 있다. 이 상품은 공기업 근무자나 공무원ㆍ교직원에게 최고 1억원까지 대출해준다. 기존 외환은행 고객인 경우 최고 0.5%포인트까지 금리를 깎아준다. 국민은행도 지난해 6월 국가기관, 정부자치단체, 정부투자(출자)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을 받는 기관 등에 1년 이상 근무한 정규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보다 낮은 대출금리를 적용한 신용대출 상품을 선보였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공무원들은 일반인보다 신용등급이 월등히 높다”면서 “특히 퇴직금이 일종의 담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를 적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융권 일부에서는 최근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CD금리가 상승하면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대출금리가 계속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공무원과 공기업 임직원 대출에 대한 우대금리는 일종의 ‘특혜’라는 지적도 나온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