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SK텔레콤 '빅2' 체제 굳어져

[새 판짜는 통신업계] (上) 절반의 성공 KT민영화SK텔레콤이 KT 정부보유지분 주식 공모에서 사실상 10% 가까운 지분을 확보함에 따라 KT 민영화 이후 통신시장에 커다란 변화의 바람이 예고되고 있다. 이번 주식매각은 일단 KT 민영화 과정에서 정부가 목표로 삼았던 ▦소유ㆍ경영 분리 ▦성공적 지분매각이라는 두마리 토끼 중 한마리는 확실히 잡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4조8,860억원이라는 엄청난 물량 부담에도 불구하고 2.37대1이라는 비교적 높은 청약률로 매각물량 전체를 소화해낸데다 시장가격에 근접한 수준에 주식을 매각함으로써 최소한 '헐값에 팔았다'는 비난은 면하게 된 셈이다. 하지만 SK텔레콤이 이번 지분매각 과정에서 상호 견제의 축을 맡아줄 것으로 기대됐던 삼성과 LG를 따돌리고 KT의 최대주주가 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황금분할'을 통해 소유ㆍ경영이 분리된 안정적 경영여건이 조성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 다양한 당근이 투자유치 이끌어냈다 정부의 지분매각이 성공한 것은 '특정 기업이 공룡을 소유해서는 안된다'는 여론과 민영화 이후 가치에 대한 기대감이 어우러진 결과로 풀이된다. 당초 정통부의 민영화 방안은 KT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사외이사로 하여금 KT 경영진에 대한 견제시스템을 구축, 특정 기업의 KT 소유 및 경영권 획득이 사실상 불가능하도록 했다. 따라서 전략 투자자들이 매력을 느끼지 못해 참여율이 낮고 이로 인해 주식매각이 실패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분매각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민영화 이후 KT에 대한 기대감이 그만큼 크다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과 기관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 역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안정적 수익을 보장하는 교환사채(EB)는 기관들에 매력적인 투자상품일 수밖에 없었고 3% 이상의 지분을 매입하는 전략 투자자에게 내건 사외이사추천권 역시 KT를 어떻게든 우호세력으로 묶어두려는 대기업들에는 확실한 '당근'으로 작용한 셈이다. ▣ SK텔레콤의 '작전 승리' 이번 지분매각에서 가장 큰 실리를 챙긴 것이 SK텔레콤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예상을 깬 대규모 지분입찰 참여로 다른 대기업의 KT 지배를 효과적으로 막아냈기 때문이다. 물론 SK텔레콤은 배정된 EB를 모두 신청, 11.4%까지 지분을 확보하더라도 당장은 경영권을 위협할 수는 없다. 사외이사추천권 역시 동종업체는 원천적으로 배제돼 있어 표면적으로는 지분취득으로 얻을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SK는 상당한 이득을 얻었다. 일단 경쟁업체인 LG와 삼성의 사외이사추천권을 무산시켰다는 점이다. LG의 경우 3%의 지분 취득을 목표로 했지만 신청물량이 배정물량을 넘을 경우 신청비율에 따라 안분배정한다는 원칙에 따라 사외이사추천권이 무산됐다. 삼성 역시 같은 목적으로 참여했지만 기관투자가에 대한 후순위 배정원칙에 따라 사외이사추천권은 고사하고 아예 주식취득 자체가 불가능해졌다. KT의 SK텔레콤 지분 9.27% 보유에 따른 압박감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KT의 주식보유로 주가상승의 걸림돌이 돼왔다는 것이 SK측의 설명이다. SK텔레콤이 청약 후 EB를 포함해 총취득지분을 9~10%를 넘기지 않겠다고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장기적으로는 삼성 등 다른 대기업의 KT 소유를 막아 안정적인 통신 양강구도를 형성하겠다는 포석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대기업이 KT 경영권 인수를 시도할 경우 보유지분이 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방패막이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신업계 전체로 볼 때는 앞으로 유ㆍ무선시장에서 KT와 SK텔레콤의 양강체제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분간은 두 공룡을 견제할 수 있을 만한 제3의 세력이 출현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결국 앞으로의 통신시장 판도는 SK텔레콤의 시장지배 전략과 정부의 견제가 어떻게 이뤄지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두환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