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영향력 '찻잔속 태풍'

상위 20개 종목 평균 등락률 -0.8% 불과

이달부터 비(非)금융주에 대한 공매도가 허용됐지만 당초 우려와는 달리 증시에 미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달 들어 지난 11일까지 공매도 금액 상위 20개 종목 가운데 10개 종목의 주가가 내린 반면 8개 종목은 올랐고 나머지 2개 종목은 횡보 국면을 나타냈다. 이들 종목의 평균 등락률은 -0.8%에 불과한 반면 코스피지수는 같은 기간 동안 1.68% 올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하루 평균 공매도 금액은 694억원으로 연초 이후 지난달 말까지의 평균치(61억원)에 비해 10배 이상으로 늘었다. 공매도 재개 후 가장 큰 ‘희생양’은 현대모비스로 이 기간 동안 13.6%의 주가 하락률을 기록했고 엔씨소프트(-9.0%), 삼성SDI(-8.2%), NHN(-5.5%), LG화학(-3.6%), 두산인프라코어(-3.5%) 등도 상대적으로 낙폭이 컸다. 하지만 현대모비스는 현대오토넷과의 합병 리스크, 엔씨소프트의 경우 최근의 주가 급등에 따른 조정 측면이 강한 만큼 공매도 때문에 주가가 떨어진 것으로 볼 수 없다는 반론도 나온다. 반면 한국전력(6.9%), KT(6.8%), LG디스플레이(6.6%) 등은 같은 기간 동안 오히려 상승했다. 이처럼 공매도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은 전반적으로 증시가 안정적인 상승세를 이어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공매도를 위해서는 주식을 빌려야 하는데 국민연금 등 기관들이 주식을 대여해주지 않은 것도 또 다른 원인으로 지적된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차거래를 위해서는 주식을 빌려야 하는데 기관이 주식을 대여하지 않아 공매도가 활성화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