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노인 일자리사업 현장을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작업장에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이 모여 마늘까기ㆍ쇼핑백접기와 같은 단순작업에서부터 콩나물 재배, 떡ㆍ두부ㆍ참기름 등 식품제조ㆍ판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사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와 시니어클럽ㆍ대한노인회 등을 통해 해마다 약 11만여개의 노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일자리가 없어 일을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노인들이 약 60만여명으로 추산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수요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게다가 공공근로 형태의 일자리가 대부분이어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나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소득 또한 매우 제한적이다. 최근 들어 연중 사업운영이 가능하고 일정 수익이 창출되는 시장형 일자리를 개발, 추진하고는 있지만 아직 사업 초기인 만큼 그 성과를 가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주지하다시피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인구의 7%를 넘어서 유엔이 분류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앞으로 10년쯤 후면 고령인구의 비중이 14%를 넘어서는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선진국 중 가장 빠르다는 이웃나라 일본을 능가하고 있다.
2004년부터 시작된 노인 일자리사업은 이러한 고령화 대책의 일환으로 일하기를 원하는 노인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보충적 소득보전과 정기적인 사회활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 일자리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다른 사회적 일자리사업과 달리 노인계층의 특수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한다. 정보접근성이 수월하지 못한 노인들에게 효율적으로 일자리를 연결해줄 수 있는 정책적 배려도 시급하다.
뿐만 아니라 노인인력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사회분위기를 확산시키고 노인 일자리 영역을 확대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와 구성원 모두의 노력도 필요하다.
우리 사회가 어르신들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활용한다면 이는 개인의 일자리 차원을 넘어 지금의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