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완화 대책 "말로만"

상한제 탄력적용·소형 의무비율 완화…
시행시기등 구체적 내용없어 공염불
재건축값 상승기대 시장왜곡만 불러


정부의 규제완화대책이 갈지자 행보를 보이면서 부동산 업계와 시장이 혼란에 휩싸이고 있다. MB의 대통령선거 공약에 ‘종부세 완화’와 ‘취득ㆍ등록세 감면’ 등 시장 친화적인 정책이 포함됐지만 MB정부 출범 이후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시장을 고사 위기에 내몰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분양가상한제 탄력 적용과 소형주택 의무비율 문제 등이 대표적인 사례. 국토부 측은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된 지 1년도 채 안된 상황에서 갑자기 분양가상한제 탄력 적용 카드를 꺼내들었다. 분양가상한제에서 토지비 산정 기준이 감정가격에 의존하다 보니 민간 건설사들이 실제 매입한 토지비용을 분양가에 반영할 수 없어 사업을 포기하는 사례가 잇따르기 때문이다. 결국 국토부 측은 민간 부문의 주택공급량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분양가상한제 탄력 적용 카드를 내놓은 것이다. 그러나 시행시기 등 구체적인 내용은 빼놓은 채 하반기에 시행할 예정이라는 원론적인 답변만 늘어놓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는 국토부의 이 같은 방침을 환영하면서도 시행시기 등 구체적인 내용이 빠져 있어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 정책이라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분양가상한제를 탄력 적용하겠다는 방침은 결국 분양가상한제의 취지는 좋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한 셈”이라며 “시장에 백기를 든 것은 환영하지만 시행시기가 명확하지 않아 언제부터 다시 상한제 적용 아파트를 내놓을 수 있을지 계획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소형주택 의무비율 문제도 마찬가지다. 국토부는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을 야기하지 않을 수준에서 재건축 활성화를 위해 소형주택 의무비율제도를 폐지 또는 완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시장은 이 같은 메시지를 잘못 받아들여 소형주택 의무비율제도 완화 방침이 재건축 아파트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만 늘려놓았다. 재건축을 활성화해 도심 내 주택 공급을 늘려나가기 위한 고육지책이지만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시장이 왜곡 반응하고 있는 것이다. 이영호 닥터아파트 리서치센터장은 “재건축 활성화를 위해서는 많은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정부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시장은 정부의 정책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