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소비성향이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평균소비성향은 처분 가능한 소득에 대한 소비 지출액의 비율을 뜻한다.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인데 72만9,000원만 썼다는 의미다.
이는 통계청이 이 지표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낮다.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2009년 76.6%에서 2010년 77.3%로 높아진 뒤 2011년 76.7%, 2012년 74.1%, 2013년 73.4%, 지난해 72.9%로 4년 연속 낮아졌다.
이처럼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진 것은 지출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3.4% 늘었지만, 월평균 지출은 2.9% 늘어나는데 그쳤다.
서운주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인들이 지출을 줄인 것은 물론이고 젊은층도 노후를 대비해 씀씀이를 줄이는 추세”라고 말했다.
특히,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하위 0∼20%인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104.1%로 1년 전보다 7.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상위 0∼20%인 5분위는 61.6%로 0.4%포인트 증가했다.
서 과장은 “1분위의 지난해 소득 증가율이 5.6%로, 5개 분위 가운데 가장 높은 가운데 1분위의 평균 연령이 계속 높아져 소비·지출(-0.1%)이 줄어든 것이 이런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4분기 평균소비성향은 71.5%로 1년 전보다 1.4%포인트 낮아졌다.
주환욱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경제활력 제고, 서민생활 안정 노력 등을 통해 가계소득 증진이 소비 활성화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