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약화 방지" 산업부문 최소화

■ 수송·상업부문등 온실가스 30%이상 감축해야
비용대비 효과 분석후 감축 목표량 할당
"기업들 부담 국민에 전가" 논란 일수도



정부가 오는 2020년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할당량을 수송(교통)과 가정·상업 부문에 집중하고 산업 부문을 최소화한 것은 비용 대비 효과가 큰 곳에 투자를 늘려 온실가스를 줄이고 산업경쟁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부문별ㆍ업종별 감축목표를 설정(할당)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 또 산업 부문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연구개발(R&D)과 신제품 활용 등을 통해 꾸준히 노력해온 것을 반영해달라는 업계의 의견을 수용한 것이기도 하다. 산업계는 2020년 배출전망(BAU) 대비 1~6%를 줄이는 것도 큰 부담이라는 입장이지만 수송과 가정·상업 부문의 부담이 커져 향후 감축계획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부담을 국민에게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논란도 우려된다. ◇BAU 기준 자발적 결정으로 부담 줄인다=정부가 코펜하겐 기후변화 합의가 사실상 무산된 상황에서 BAU 대비 30% 감축을 결정한 것은 외부의 영향에 흔들리지 않고 예정된 우리의 갈 길을 가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 녹색성장위원회의 한 관계자는 "코페하겐 회의나 다른 국가가 어떤 결정을 하든 우리는 대외적으로 약속한 일정대로 진행할 것"이라며 "자발적 감축이지만 국제적 약속인 만큼 지켜나가고 산업경쟁력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녹색위의 한 자문위원은 "고속성장을 한 우리나라는 누적배출량은 적고 연간 배출량은 많은데 선진국의 논리대로 연간 배출량을 기준으로 하면 부담이 크다"며 "자발적으로 감축안을 확정함으로써 우리에게 유리한 것을 선택하고 대외적인 견제도 덜 받게 됐다"고 평가했다. 지식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가 BAU라는 신축적인 비의무감축국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경제성장률이나 유가 등 경제상황에 따라 배출규모도 달라질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는 비의무감축국 방식인 BAU 대비 방식만 표기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감축목표 할당은 비용 대비 효과 기준=정부는 2020년까지 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줄이기 위해 산업ㆍ가정ㆍ상업ㆍ수송ㆍ전환 등 5개 부문에 대해 비용 대비 효과를 분석한 후 감축목표를 할당할 방침이다. 녹색위 자문위원은 "똑같은 돈을 들여 어디가 감축효과가 큰지 한계비용곡선을 그려 결정하게 될 것"이라며 "수송이나 가정·상업 부문의 감축 여력이 큰 것으로 나왔다"고 말했다. 정부도 감축 추진 때 상대적으로 감축여력이 많은 건물ㆍ교통 등 비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감축노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가정ㆍ상업 부문인 주택ㆍ건축에서 2020년 BAU 대비 31%, 수송 부문에서는 33~37%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수송ㆍ가정ㆍ상업 부문 부담 완화가 관건=정부는 경제성장·일자리와 직결되는 산업경쟁력이 떨어지지 않도록 감축량을 배분한다는 입장이다.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 15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앞으로 20년 동안은 두 배 이상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동결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배출권 할당이 상당히 민감한 문제인 만큼 민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기초 데이터부터 체계적인 조사를 다시 거쳐 확정할 계획이다. 문제는 수송ㆍ가정ㆍ상업ㆍ전환 등의 온실가스를 30% 이상 감축하기 위해 어떤 대안을 마련하느냐다. 국민들의 에너지 절약을 강조하기 위해 직·간접적인 세금을 걷거나 가격이 비싼 가전제품을 쓰도록 유도할 경우 기업들의 부담을 국민들에게 전가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