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올해 경제 분야 국정운영의 최우선을 일자리 창출과 물가안정에 두기로 함으로써 취업기회 확대와 함께 우리 경제의 안정기반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북한 문제와 관련해 "기회의 창을 열어놓겠다"고 밝혀 얼어붙은 남북관계에 모종의 변화가 생기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 대통령의 신년연설에서 가장 강조한 대목 가운데 하나는 물가안정이다. 이 대통령은 "일자리를 만들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데 온 힘을 쏟겠다"며 "올해는 어떤 일이 있어도 물가를 3%대 초반에서 잡겠다"고 다짐했다. 임기 마지막 해를 맞아 고용과 물가안정에 올인함으로써 경제성장세 둔화에 따른 국민생활의 주름살을 최대한 덜어주는 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일자리의 경우 이명박 정부의 경제성적표를 좌우하는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는 정부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을 포함한 기업들과의 공조체제가 뒷받침돼야 한다. 공공 부문 채용확대, 재정에 의한 임시 일자리만으로는 심각한 청년실업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기업들이 적극적인 투자와 함께 공격경영에 나설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대한상의가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의 올해 채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보다 채용규모가 1.3% 정도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다행히 삼성ㆍ현대차 등 일부 대기업들의 경우 사상최대 투자와 함께 신규채용도 늘릴 계획이어서 정책적인 지원이 이뤄질 경우 일자리 전망은 그다지 어두운 편은 아니다.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는 물가안정의 경우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라 석유와 원자재 가격을 중심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되는 등 여건이 개선되고 있다. 한가지 지적할 점은 개별상품 또는 기업별 가격을 직접 통제하거나 인하압력을 넣기보다 경쟁촉진과 같은 구조적인 개선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북한 김정은 체제 출범과 관련해 남북관계 개선의 기회를 포착하고 양대 선거를 무사히 치르는 일도 올해 국정의 중요한 과제이다. '유종의 미'를 거두는 국정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