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는 환경을 최우선시하는 `녹색기업`(Green Company)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 이는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데다 가격이 다소 비싸더라도 친환경 제품을 찾는 `녹색소비자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막대한 돈을 들여 개발한 제품이 환경적인 문제 때문에 판매가 금지되거나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당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환경경영은 단순한 윤리적인 차원을 넘어 이제 기업의 사활을 좌우하는 핵심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경친화기업을 비롯한 국내 기업들은 환경경영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경규제 갈수록 강화= 일본의 한 가전회사는 2001년 11월 환경문제에 소홀히 대처했다가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이 업체가 네덜란드에 수출한 게임기에서 기준치 이상의 카드뮴이 검출돼 통관이 금지되면서 1,800억원대의 제품을 모두 리콜해야 했다. 이후 이 회사는 국내외 모든 협력업체 제품의 환경위험성을 평가, 기준을 통과한 업체하고만 거래를 하는 `그린파트너 선정 심사`를 실시하고 있다.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제품을 구매할 때 그 기업의 환경경영성과와 함께 제품의 유해성 여부에 대한 공신력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 일반화돼 있다. 여기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해외수출 자체가 원천 봉쇄되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7월 환경부가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 배출기준을 강화하면서 일부 모델의 생산이 중단되기도 했다.
◇녹색소비자도 늘어난다= 소비자들의 의식 변화도 기업의 환경경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소비자들은 비록 비용을 다소 더 지불하더라도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구입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환경에 대한 배려를 하지 않는 제품에 대해서는 불매운동을 통해 기업을 압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환경친화적인 경영을 촉진하기 위해 주주결의 운동을 펼치는 등 경영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등에서는 불매운동과 같은 `네거티브` 방식 뿐만 아니라 기업들이 친환경적인 영업활동을 하도록 지원하는 `포지티브` 방식의 환경운동을 전개하기도 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기업들 대응= 현대ㆍ기아자동차는 최근 국내 자동차 업체로는 처음으로 `글로벌 환경경영`을 선언했다. 현대ㆍ기아차는 2010년까지 1조3,000억원을 환경분야에 투자할 방침이다. 이 같은 액수는 지난해 현대ㆍ기아차의 순이익(1조4,000억원)과 맞먹는 엄청난 규모다.
현대ㆍ기아차가 이처럼 대규모 환경투자에 나서는 것은 환경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직접적으로는 기업의 비용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소비자들의 신뢰를 쌓아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국내 가전사들도 유럽연합(EU)의 환경규제 움직임에 맞서 무연(無鉛)합금 기술을 도입하는 등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LG전자는 일본 알미트연구소와 공동으로 전기ㆍ전자 제품의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되는 납(Pb) 성분을 친환경 소재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 올 하반기부터 냉장고 등에 적용할 예정이다. 또 2004년부터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환경 디자인(Eco-Design) 개발 과정을 적용하고 제품의 환경 성적을 공개해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판단에 의해 시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협력사로부터 부품을 납품받는 단계에서부터 유해물질을 검사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도 내년부터 회사가 판매할 모든 제품에 무연합금 기술을 적용할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부터 국내에 판매되는 모든 VCR제품에 무연합금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는 대부분 제품에 대해 양산 체제를 확보할 계획이다.
윤창현 국가청정지원센터 소장은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기업 경영환경 가운데 환경문제는 이제 기업의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환경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이 좌우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별취재팀: 오철수차장(팀장),홍준석기자,전용호기자 csoh@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