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黨號, 선장 누가되나?

민주당의 신당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벌써부터 대표 자리를 누가 맡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물론 당의 윤곽이 채 결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이런 논의 자체가 무의미할 지도 모른다. 구 주류의 참여 여부도 결정되지 않았고, 당 밖의 외부인사와 개혁정당 및 한나라당 일부 의원들과의 연합 여부도 아직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당의 모습은 실질적인 참여정부의 여당으로 사실상 노무현 대통령이 직접 이끌어가는 새로운 정당 문화의 모델적 성격이 짙다. 당 대표도 단순히 이전의 임명직 여당 대표나 관리형 대표와는 차원이 다른 노 대통령의 국정운영 동업자로 단번에 지위가 격상될 수 있다. 여기에다 내년 총선 결과가 좋을 경우 `포스트 노무현`의 유력한 주자로 직행하는 보너스가 추가될 수 있어 신 주류를 중심으로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세대교체냐 개혁성향이냐 가장 먼저 주목받는 인물로는 정동영 의원이 꼽히고 있다. 노 정권의 `개국공신`이면서도 그간 대외적 의견 제시를 자제하던 정 의원은 4월28일 신당 추진 결의 모임에 전격 참석하면서 신당 창당 논의의 중심에 섰다. 여기서 그는 신당 창당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등 평소와 달리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후문이다. 정 의원의 행보에 일각에서는 “라이벌 격인 추미애 의원이 신당 추진에 비판적 자세를 보이자 이를 의식한 정 의원이 역으로 치고 나가려는 것 아니냐”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노 대통령 입장에서 정 대표 카드는 효용성이 많은 편이다. 가뜩이나 시달리는 호남 소외론을 어느 정도 잠재울 수 있는 데다 개혁과 세대교체의 중심에 세우기에도 제격인 편이다. 하지만 정 대표 카드에는 내부 견제세력도 만만찮다는 게 중론이다. 당 내부에는 또 김근태 대표 추대설도 제법 설득력 있게 퍼져 있다. 무엇보다 노 대통령의 개혁 방향과 코드가 맞는 데다 신ㆍ구 주류를 두루 껴안을 수 있는 점도 플러스 요인이다. 더구나 김 대표 카드는 개혁정당과 한나라당 진보세력과도 자유로운 교류가 가능해 당 안팎의 신뢰를 얻어가고 있다는 평이다. 다만 총선을 겨냥한 득표용 창구로서의 상품성이 약해 보인다는 약점이 있다. 두 사람 외에 신기남 이해찬 의원 등의 이름도 오르내리고 있으며, 파격적으로 추미애 의원을 내세워 총선을 비롯한 정국 주도권의 물꼬를 트자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안정형 대표와 외부 충원 가능성 하지만 현실적으로 구 주류 및 당내 중진급 의원들의 목소리를 무시할 수 만도 없다. 동교동계를 비롯한 구 주류가 어떤 형태로든지 신당에 참여한다 해도 이들 중 대표가 나오기는 좀 힘겨워 보인다. 노 정권의 개혁성향과 썩 코드가 맞는다고 볼 수 없어서다. 그렇다고 해도 대주주 격인 구 주류의 지분을 감안하면 신 주류 중에서도 중진급 이상에 힘이 실릴 수 있다. 이 경우 김원기 고문이 먼저 거론될 수 있다. 호남 소외론도 달래며 구 주류와 신 주류의 힘의 균형을 적절히 조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때문이다. 정대철 현 대표도 후보로 오를 수 있지만 신당이란 이미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가급적 배제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광옥 고문과 한화갑 전 대표, 박상천 의원 등도 옛 명성을 앞세워 바라볼 수는 있지만 개혁신당이란 간판에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다. 만약 외부에서 충원한다면 노 정권의 숙원인 동진(東進)을 위해 영남출신 인사가 `깜짝 카드`로 기용될 수 있다. 대선기간 우회적으로 노 후보를 지원했던 이수성 전 총리가 물망에 오르고, 현 각료 중에서 자리를 옮긴다면 강금실 법무장관과 김두관 행자부 장관의 이름이 맨 먼저 거론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아직은 당 대표를 어떻게 뽑을 지, 누가 후보 군인지도 가늠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설사 노 대통령의 의중이 한 특정 후보에게 쏠린다 해도 당원에 의해 거부될 수도 있고, 여론에 의해 낙마할 수도 있다. 신당의 윤곽이 드러나는 6월 말께나 안개 속에 가려진 대표후보 군들의 발걸음도 분주해질 것이다. <염영남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