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억弗 아시아 공동기금 내년 상반기까지 조성 합의

베이징 ASEM 참석 한중일·아세안 정상들
"금융위기 공조강화·감시기구 설립등 적극추진"
李대통령 "국제 금융질서 재편때 신흥국 입장 반영을"

중국을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이 2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 홍콩청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 업무조찬에서 원자바오 중국 총리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 대통령, 아소 다로 일본 총리, 원 총리. /베이징=손용석기자

한국ㆍ중국ㆍ일본과 아세안(ASEANㆍ동남아국가연합) 10개국 정상들이 아시아판 국제통화기금(IMF)인 800억달러의 역내 공동기금을 내년 상반기까지 조성하는 데 합의했다. 미국발 금융위기가 세계 금융위기로 확산됨에 따라 아시아의 역내 국가들끼리 상호 지원을 통해 위기 때 지원에 나서는 ‘안전망’을 구축하자는 구상이다. 특히 이날 아시아 각국 증시가 급격하게 추락함에 따라 금융위기에 대한 위기감이 관련국들 사이에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아시아판 IMF 800억달러 조성합의=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ASEM(Asia-Europe Meeting)에 참석한 이들 정상은 이날 비공식 조찬모임을 갖고 세계 금융위기에 대한 역내 공조를 강화하고 이를 위해 800억달러의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 다자화 공동기금 조성을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하도록 협력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또 역내 ‘경제감시(Surveillance)’ 역량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감시기구 설립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또 오는 12월 열리는 ‘ASEAN+3’ 회의에 앞서 11월 중 각국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 회의를 열어 역내 금융협력의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다양한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비해 양자간 통화스와프를 확대하고 아시아 자본 채권시장(ABMI)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아세안 가입국들과 한ㆍ중ㆍ일은 지난 5월 800억달러 규모의 CMI 공동기금을 조성하되 한ㆍ중ㆍ일이 80%, 아세안 국가들이 20%를 분담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나 이날 회의에서는 한ㆍ중ㆍ일 3국 간 출연 비율을 놓고 일본은 국내총생산(GDP)을, 중국은 외환보유액을 기준으로 하자고 맞서 난항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금융질서 재편서 신흥국(한국) 입장 반영해야”=이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앞으로 국제금융질서 개편을 위한 논의에 선진국뿐 아니라 신흥국의 입장과 이해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다자간 협력체제 확대 개편시 신흥 경제국들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이에 대해 참가 정상들도 공감을 표시했다. 이 대통령은 ASEM 1차 본회의와 업무 만찬 선도발언에서도 “국제 금융위기 사태를 맞아 국제 공조가 필요하며 국제 금융체제 개편과정에서 선진국 위주의 체제에 신흥국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금융위기를 틈탄 보호주의 강화를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 대통령은 아소 다로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갖고 아시아 공동기금 조성에 한일 양국이 협력하기로 하고 대통령은 또 아소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갖고 독도 사태로 중단된 정상간 셔틀 외교를 복원하기로 합의했다. 또 12월 중순께 일본의 후쿠오카에서 한ㆍ중ㆍ일 3국 정상회담을 개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아소 총리의 방한을 요청했으며 아소 총리는 이르면 연내 방한할 뜻을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이외에도 베트남ㆍ덴마크ㆍ폴란드 정상들과 연쇄회담을 열어 금융위기 극복과 양국 간 협력방안 등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