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박치기’의 이즈쓰 가즈유키 감독(왼쪽)과 주인공 이안성 역의 다카오카 소스케. |
|
| 영화‘박치기’는 총련계 재일 조선인이라는 자못 심각한 소재를 신나고 유쾌하게 다룬다. 설사 재일 조선인 문제를 모르더라도 관객들이 이 영화를 웃으며 받아들이기엔 문제가 없다. 사진은 여주인공 경자와 그녀를 좋아하는 일본인 친구 코우스케가 함께 공원에서 연주하는 장면. |
|
영화 ‘박치기’는 참 묘한 지점에 서 있다. 한국에서 유달리 인기가 좋은 ‘러브레터’의 이와이 슈운지나,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이누도 잇신,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과는 분명 다른 감성이다. 이들 영화가 객석을 따뜻하게 감싼다면 ‘박치기’는, 참 신나게 달린다.
마치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보는 듯한 사춘기 젊은이들의 고민과 방황을 다룬 영화 ‘박치기’는 특히 다루는 소재가 한국 관객들에게 독특하게 다가온다. 순도 100% 일본인 감독과 배우들이 만든 총련계 재일 조선인 이야기라니.
TV용 다큐멘터리로나 어울릴 법한 소재를 영화는 경쾌하고 감각적으로 그려낸다. 객석에선 10분에 한번씩 웃음이 터져 나온다. 아사히신문, 닛칸스포츠, 키네마준보 등 일본 언론들은 하나같이 지난해 최고의 영화로 이 작품을 선정했다.
이 쯤 되면 이 영화를 만든 이들이 궁금해진다. 마침 지난 12일, ‘박치기’의 이즈쓰 가즈유키(54) 감독과 ‘이안성’ 역의 남자주인공 다카오카 소스케(24)가 한국을 찾았다. 그들을 만났다. 왜 재일 조선인 같이 미묘한 문제를 다뤘는지를 물었다. 대답이 참 유쾌하다. “사고 한번 치고 싶었다.”
-한국 관객들의 반응이 뜨겁다. 주말엔 매진이란다.
(이즈쓰 가즈유키 감독)“이보다 더 기쁠 수가! (웃음) 사실 한국을 염두에 두고 만든 영화는 아니었다. 한국에선 일본 영화가 별로 인기가 없다는데, 관객들이 내 영화를 거절하지 않은 게 기쁜 일이다. 역시 영화는 국경을 초월해 공통된 감성을 낳는 예술이다.”
-한국에 와 본 적이 있나.
(가즈유키)“86년에 처음 서울에 들렀다. 그 해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참석차 왔는데, 난 ‘태양을 쏘다’라는 영화를 출품했다. 2차 대전 후 전쟁 후유증을 다룬 영화였는데, 서울 관객들이 굉장히 많이 즐거워 했다. 나중에는 영화에서 총만 나오면 다들 웃느라 정신이 없었다. 굉장히 환상적인 경험이었다. 어제 밤 ‘박치기’ 무대인사를 나섰는데, 한국 관객들은 그 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열광적이라서 좋다.”
(다카오카 소스케)“2년전 부산영화제가 첫 방문이었다. 부산은 참 좋았다. 바다도 있고, 술집도 좋고. 서울은 처음인데, 스케줄 때문에 호텔 밖을 나서지 못하고 있어 너무 불행하다.”
-재일 조선인 문제라는 묵직한 소재를 다루는데 관객들은 마냥 웃어주기만 한다. 서운하진 않은가.
(가즈유키)“진지한 얘기를 웃기게 만드는 게 처음부터 의도한 바였다. 영화 속 무대인 총련학교는 남과 북, 일본이 어우러진 매우 독특한 공간이다. 한국 관객들이 모르는 세계이다 보니 다소 놀라웠을 거다. 그 놀라움이 유머로 발전했을 테고. 아마 그들의 문제를 솔직하고 무겁게만 보여줬으면 누가 이 영화를 보러 오겠나.”
-원래 한국어를 할 줄 알았나? 일본인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한국어 발음이 매끄럽다.
(소스케)“주위에 재일 한국인 친구들이 꽤 있어서 한국어에 대한 충격은 그리 크지 않았다. 사실 한국어 만큼이나 큰 부담은 사투리였다. 영화 배경이 교토여서 간사이지방 사투리를 써야 했는데, 난 도쿄 출신이어서 표준어밖에 할 줄 몰랐다. 사실상 2개 언어를 배운 셈이다.”
-재일 조선인 문제를 상업영화로 다루는 게 부담스럽진 않았는지. 당사자가 아닌 일본인의 눈으로 말이다.
(가즈유키)“민감하기 때문에 일본 내 메이저 영화사들은 만들 생각도 못 한다. 제작자(이봉우 씨네콰논 사장)와 함께 큰 사고 한 번 치자는 느낌으로 영화를 만들었다. 이를테면 확신범인 셈이다. 30년간 영화를 만들어 왔는데, 이런 얘기에 한번 도전하고 싶은 욕심도 있었다. 무엇보다도 일본 사회에 큰 못을 하나 박고 싶었다. 영화 배경인 68년이나 지금이나 재일 조선인 문제에서 달라진 건 아무 것도 없다.”
(소스케)“예전 여자친구가 재일 조선인이었다. 그 분 어머니께 자신들이 일본에서 얼마나 힘들게 살아왔는지에 대해 많이 들었다. 치마저고리를 입고 다닌다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받는 건 너무 부당하지 않은가. 실제로 영화 개봉 후 재일 조선인들로부터 편지를 많이 받았다. 언젠가는 그들이 일본에서 당당하게 살아갔으면 하는 게 작은 바람이다.”
(가즈유키)“(하나만 더 얘기하겠다며)재일 조선인 뿐 아니라 부락민에 대한 차별이 사실 더 심각한 문제다. 선진국을 자처하는 나라에 이처럼 많은 차별이 있다는 자체가 국제적으로 이상하다. 그들은 일본에서 특별한 존재고, 영화적으로도 독특한 소재들이다. 어디에나 있는 사람들의 얘기보단 특별한 사람들 이야기를 의미있게 다루고 싶다. 늘 ‘킹콩’같은 블록버스터만 볼 수는 없지 않은가. 아~ 사실 ‘킹콩’이야말로 정말 특별한 존재이긴 하다.(웃음)”
-향후 행보가 궁금하다. 특히 소스케는 외모로 보나 한국어 실력으로 보나 한국과 많이 친해질 것 같다.
(소스케)“‘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로 츠마부키 사토시가 한국에서 인기가 높다는 걸 알고 있다. 그 친구야 산뜻한 청춘 스타지만, 난 얼굴이 좀 거칠지 않은가. (웃음) 뻔한 얘기겠지만 한국과 일본의 다리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TV드라마는 사양한다. 영화가 좋다. TV로서는 할 수 없는 얘기가 너무 많다.”
(가즈유키)“마이너리티 문제를 다루는 건 내 영화 철학의 기본이다. 물론 예술영화가 아닌 상업영화로 아니다. ‘박치기’가 그런 면에서 스탠스가 참 좋다. 어찌 보면 나의 전매특허 같은 영화세계다. 앞으로도 사고 많이 칠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