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ㆍ환율 불안 속 물가 비상

새해 들어 환율ㆍ유가가 불안하게 움직이면서 물가마저 가파르게 올라 경제전반에 먹구름이 잔뜩 깔렸다. 북핵 위기와 중동전 발발 가능성 등으로 유가는 급등한 반면 달러 가치는 급락, 세계경제가 요동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연말부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실물경기는 올 들어서는 거의 바닥으로 내려 앉은 느낌이다. 더욱이 공공요금 인상까지 줄을 잇고 있어 금년도 물가관리에 빨간 불이 켜진 셈이다. 미국의 이라크 공격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30달러를 육박하면서 수입 원자재값도 덩달아 치솟고 있다. 원자재값 상승은 곧바로 국내 공산품과 수출품 가격의 동반상승으로 이어져 물가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가상승은 특히 설(2월1일)을 보름 여 앞두고 생활용품을 중심으로 폭등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걱정이 크다. 그럼에도 물가를 관리해야 할 정부는 임기 말 레임덕에, 정권 인수인계 등으로 거의 손을 놓고 있어 문제가 여간 심각한 것이 아니다. 국제유가는 지난해 배럴당 평균 25달러 수준에서 움직였다. 그러던 것이 새해 벽두부터는 30달러선을 넘나 들고 있다. 유가가 배럴당 1달러 오르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연간 8억달러 정도 악화된다. 환율도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최저치인 달러당 1,170원대로 떨어졌다. 달러당 100원가량 하락한 꼴이다. 따라서 국제유가 상승도 발등의 불이지만 환율 하락이 주는 영향도 만만치 않다. 일반적으로 국제정세가 불안할 경우 달러가치가 상승하고 원화가치는 떨어지게 마련이지만 지금은 미국경제의 불확실성 등으로 거꾸로 다. 수출전선에는 최악의 상황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각종 공공요금이 이미 올랐거나 인상을 대기중에 있어 공공요금이 물가상승을 선도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의 금년도 목표인 물가상승율(3%)도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노동계가 신정부의 출범에 맞추어 강도 높은 `춘투`를 예고하고 있어 올 봄이 예사롭지 않다. 경제에는 모두가 악재 투성이다. 정부는 남은 임기동안만이라도 유가ㆍ환율 불안에 따른 물가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협조해야 한다. 현재와 같은 인수위의 여론을 의식하는 `포퓰리즘`은 단견(短見)에 치우칠 우려가 있다. 정책의 주안점을 보다 멀리, 글로벌하게 짤 필요가 있다.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킬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미주한국일보 김경원 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