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료길 열리나

KIST·자넬리아 팜 연구팀
기억 신경세포 작동 원리 규명

뇌의 기억 중추인 해마가 공간 정보를 어떻게 습득하는지 원리가 밝혀져 알츠하이머병이나 간질과 같은 뇌 질환 치료의 새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세바스티안 로이어 박사와 김진현 박사가 미국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 산하 자넬리아 팜(Janelia Farm) 연구팀과 공동으로 해마 속 신경세포와 뇌파 간 작용을 규명했다고 2일 밝혔다.

해마는 대뇌의 좌우 측두엽 안쪽 깊숙이 자리한 기관으로 기억을 저장∙상기시켜 '기억의 제조공장'으로 불린다. 이 해마 속에 '장소세포(Place cell)'라는 신경세포가 있기 때문에 공간을 탐색∙기억해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를 옮기면 이 신경세포가 활성화돼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이 신경세포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실험용 생쥐를 훈련장치인 '트레드밀(Treadmill)'에 넣고 여러 공간을 학습하게 했다. 그 결과 해마 부위의 여러 신경세포 중 소마토스테틴형이라는 신경세포는 기억의 양을 조절하고 파브알브민형이라는 신경세포는 기억을 순서화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김 교수는 "해마의 공간학습 메커니즘 규명을 통해 기억 습득의 원리를 밝힐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이나 간질과 같은 뇌 속의 해마가 손상돼 나타나는 뇌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신경과학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ruoscience)지' 온라인 판에 지난 3월25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