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은 30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후임 총리 인선과 관련해 "총리직은 오랜 기간 공석으로 둘 수 없으므로 적정 기준에 맞으면서 내각을 잘 이끌어나갈 수 있는 사람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청와대가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는 측면에서 총리와 장관의 사퇴를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아울러 공직사회의 솔선수범을 강조하면서 "솔선한다는 것은 다소 불편하고 자기희생이 따를 수도 있지만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공정한 사회를 만들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의 발언은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시급해진 후임 총리 인선기준을 제시한 것으로 ▦업무공백이 있어서는 안 된다 ▦공정사회를 저해해서는 안 된다 ▦자기희생을 극복하지 못하면 안 된다는 이른바 '3불(不)원칙'을 내세운 셈이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은 후임 총리를 오는 9월 중순 이전에 선임하되 공정사회 구현에 적임이면서도 자기희생 정신이 투철한 인물을 찾는 데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청와대는 이번 8ㆍ8개각 때 허점을 드러낸 인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인사검증 기준'을 공론화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총리자리 공백 없게=이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들과 함께 한 자리에서 "총리직은 오랜 기간 공석으로 둘 수 없다"고 밝혔다. 총리 인선은 가급적 빨리 하면서도 자질을 갖춘 인물을 찾겠다는 의중을 천명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또 "청와대가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데 출발점이 돼야 한다는 측면에서 총리와 장관의 사퇴를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김 총리 후보자의 경우처럼 거짓말이 잦아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든지, 신재민 문화체육관광,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내정자처럼 부당행위로 국민들을 실망시킬 여지가 있는 사람은 총리 후보가 될 수 없다는 기준을 제시한 셈이다.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은 "사퇴한 두 장관 후보자는 공정한 사회 기준에 따라 본인이 전도사를 하기에는 미치지 못하지 않느냐는 얘기가 있었고 총리 후보자는 거짓말로 국민적 실망감이 컸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공정한 총리' 찾기 시동=이에 따라 청와대는 '공정한 사회구현'에 걸맞은 삶을 살아온 인물인지를 최우선 기준으로 설정하고 총리 인선작업에 착수했다.
특히 청와대는 공정한 사회구현이라는 인사원칙 아래 원점에서부터 후보들을 찾고 정밀한 도덕성 검증에 나설 계획이다.
아직 원점 수준인 만큼 하마평을 하기는 성급하지만 총리후보로 거명되는 인사들은 비교적 경력 및 주변 관리가 잘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전직 관료나 법관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 거론되는 총리 후보로는 김황식 감사원장, 이석연 전 법제처장, 조무제 전 대법관, 전재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있다. 김 감사원장과 이 전 법제처장은 현내각에서 보기 드문 호남 출신으로 국민통합과 소통의 전도사로 내세울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히며 조 전 대법관은 '청빈'의 상징성을 지녔고 전 전 장관은 '여성 카드'라는 것이 강점이다. 이밖에 김덕룡 대통령 국민통합특보, 김진선 전 강원지사, 이완구 전 충남지사, 정우택 전 충북지사, 강재섭 전 한나라당 대표,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등도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靑, 인사검증 기준 공론화 착수=청와대는 이번 8ㆍ8개각 때 인사검증 시스템에 문제점이 드러났다는 판단 아래 인사검증 기준을 사회적으로 공론화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인사검증 시스템은 청와대 민정라인에서 기본안을 준비 중"이라며 "국회는 물론 사회 각계의 목소리를 들어 인사검증 기준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새롭게 만들어질 인사검증 기준에 대해 "이를 청와대 내부 원칙으로 할지 국회 논의를 거쳐 법률안으로 가져갈지는 포괄적으로 문을 열어놓고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경부는 최 장관의 유임 사실이 전해지자 '최경환 체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업무를 새롭게 정비하고 있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최 장관 체제로 국정감사를 치를 가능성이 높아진 것 아니냐"고 반문하면서 "그 같은 가정 아래 업무에 새롭게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