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 브랜드 5년내 15위로 끌어 올릴것"

①'경제 발전경험' 전파 ②美'풀 브라이트 장학제' 도입 ③다문화 가정 배려 확대…
브랜드委 첫 보고… 중점 추진 10대 과제등 선정
李대통령 "경제위치 걸맞지 않은 브랜드가치 문제"

이명박 대통령이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브랜드위원회 1차 보고 대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손용석기자

우리의 발전경험을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에 전수하는 '경제한류'가 추진되고 미국의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과 유사한 '글로벌 코리아 스칼러십'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정부는 이 같은 전방위적인 국가브랜드 제고정책을 추진해 현재 세계 33위 수준의 국가브랜드를 2013년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5위권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국가브랜드위원회(위원장 어윤대)는 17일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차 보고대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향후 활동방향 및 세부계획을 확정했다. 국가브랜드위는 '국민과 함께 배려하고 사랑받는 대한민국 만들기'를 비전으로 채택하고 ▦ 국제사회 기여도 제고 ▦ 첨단기술ㆍ제품 확대 ▦ 문화ㆍ관광산업 육성 ▦ 다문화 가정ㆍ외국인 배려 확대 ▦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 등 5대 분야, 10대 과제를 중점 추진키로 했다. ◇'경제한류' 베트남서 시작해 CSI, 중동국가까지 추진= 기획재정부는 우선 `경제한류'를 확산시킨다는 목표 아래 올해 베트남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성과를 보고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CIS(독립국가연합), 중동 국가들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 교육과학기술부는 `글로벌 코리아 스칼러십' 프로그램을 도입해 한국에 우호적인 인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아시아대학생 교류를 위한 `캠퍼스 아시아' 프로그램을 개발키로 했다. 외교통상부는 연간 3,000 명의 정부 파견 해외봉사단 사업을 단일 브랜드로 통합하고 내달 중 통합 브랜드인 `코리언 서포터스'를 출범시키는 한편 700만 재외동포를 하나로 연결하는 온라인 통합 한민족 네트워크 구축, 사이버 한상네트워크 구축, 재외동포 통합인물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작업을 추진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증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기관을 `세종학당' 브랜드로 통합하고, `U-세종학당' 사이트를 구축해 한국어 교육관련 사이트들을 연계키로 했다. 또 다문화 사회 만들기 운동(레인보우+코리아) 전개, 외국인의 방송ㆍ통신 접근성 제고 및 다양한 외국어 콘텐츠 제공을 통한 디지털로 소통하는 대한민국 만들기 사업 전개, 국가브랜드 체계적 관리를 위한 국가브랜드지수(KBI) 개발 등도 추진키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세계 33위인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가치와 관련, "경제적 위치에 걸맞는 브랜드 가치를 갖고 있지 못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정부도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남묵대치상황, 정치ㆍ사회 불안이 국가브랜드 떨어뜨려=국가 브랜드 위원회가 지난달 월드리서치와 공동으로 상사주재원과 유학생, 다문화가정 등 주한 외국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국 이미지에 대한 조사결과, 북한과의 대치상황, 국제사회기여도 미흡, 국내의 정치ㆍ사회적 불안 등이 국가브랜드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48.4%(복수응답)가 북한과의 대치상황을 브랜드 저평가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그 다음은 국제사회 기여 미흡(44.1%), 정치. 사회적 불안(41.5%), 이민.관광지로서 매력 부족(38.8%), 해외여행시 낮은 세계 시민의식(37.5%) 등의 순이었다. 특히 전체 응답자 가운데 서양권 외국인들의 경우 54.8%가 북한과의 대치상황을 가장 큰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브랜드 제고 방안으로는 관광여건 개선(29.7%), 국제사회 기여 확대(9.8%),주한 외국인 배려 확대(9.2%), 해외여행시 세계 시민의식 향상(8.5%), 불안한 국가이미지 탈피(8.2%) 등이 제시됐다. 응답자들은 또 한국의 이미지로는 김치.불고기(30.4%), 한복(27.9%), 한글(16.1%), 태권도(8%), 태극기(3.6%) 등의 순으로 떠올렸고, 한국의 자랑거리로는 오랜 역사와 전통(22.8%), 음식(17.9%), 국민성(11%), 과학.기술(10.6%), 교육수준.교육열(8.8%) 등의 순으로 답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