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0년 다시 뛰는 대한민국] '내탓 네덕' 경영 실천할 때 국민은 기업 응원한다

반기업정서 해소하려면 특권층 아닌 사회공동체로
기업가정신 되살리고 국민과 눈높이 맞춰야


반기업 정서의 바탕에는 사회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잊은 기업의 태도가 깔려 있다. 정부의 배려와 국민의 사랑 속에서 성장한 대기업이 기업가 정신은 제쳐두고 이익만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변질되면서 국민들은 분노하는 것이다.

현대자동차·삼성·LG 등 국내 주요 대기업은 광복 이후 70년 동안 정부의 지원과 국민들의 사랑 속에 성장해왔다. 지난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난 후 정부는 미국의 원조물자를 바탕으로 원면·원당·소맥 등 '3백 산업' 기업을 육성했다. 삼성그룹의 제일제당·제일모직의 시작도 이때였다. 군수물자 조달과 전후복구 사업에 참여한 현대그룹과 한진그룹이 자본을 축적하고 성장할 수 있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기업은 정부 보증으로 차관을 들여와 공장을 지을 수 있었다. 1965년 일본과의 국교정상화, 베트남 전쟁 특수, 수입 허가, 외화 배정, 은행 대출 등에서 혜택을 받으며 기업들은 앞으로 달려나갈 수 있었다.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의 철강·비철금속·조선·전자·화학·특수강 등 6대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은 대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해줬다. 그동안 정부의 지원 덕분에 자본을 축적할 수 있던 기업들이 가장 큰 수혜를 봤다.

최근 형제간의 경영권 다툼으로 논란이 된 롯데그룹 역시 정부의 혜택을 입은 대표적인 기업이다. 정부는 1966년 외자도입특례법을 제정해 외자 기업에 소득세·법인세·취득세·재산세를 최초 5년간 면제해주는 등 파격적인 특혜를 제공했다. 당시의 혜택 덕에 일본 기업으로 분류된 롯데는 국내 시장에 안정적으로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서울 소공동에 있는 현재의 롯데호텔과 롯데백화점 본점을 롯데가 매입할 수 있도록 혜택을 준 것도 정부였다.

'잘 살아 보자'는 일념하에 열악한 노동환경을 이겨내며 구로공단 등 주요 수출기지에서 첨병 역할을 했던 국민들의 희생도 바탕이 됐다. 1970~1980년대 국산품 애용운동이 기업을 일으켜 세우는 데 한몫한 것도 빼놓을 수 없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대기업은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이 아니라 정부와 국민 위에 군림하는 '갑'으로 행동하기 시작했고 이는 곧 반기업 정서로 이어지고 있다. '땅콩 회항'으로 문제가 된 대한항공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국민들은 잘하는 기업에 박수를 치고 응원한다. 이부진 신라호텔 사장의 '내 탓, 네 덕' 경영철학에 열광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지난달 9일 서울 시내면세점 신규 사업자 선정을 위한 프레젠테이션(PT) 때 대기업 7개사 오너 중 유일하게 현장을 찾아 직원들에게 "너무 걱정마세요. 잘되면 다 여러분 덕이고 떨어지면 제 탓이니까요"라고 말해 화제가 됐다.

대기업 스스로 특권층이 아니라 사회공동체의 하나로 고객과 국민의 눈에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고도 압축성장이라는 배경 속에서 각종 혜택을 받은 한국 기업들이 과거에는 기업가 정신을 통해 사회공동체로서의 한 축을 담당했지만 최근에는 그런 모습이 많이 퇴색되고 있다"며 "고객과 국민의 심정을 헤아리고 그에 걸맞은 수준 높은 행동방식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