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기업 10개 가운데 3개는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입으로 이자도 갚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환율 급락과 유가 급등으로 은행 수익성이 악화된 가운데 금리마저 오르면서 금융비용은 늘어났기 때문으로, 앞으로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는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업체를 제외한 상장법인 가운데 이자보상비율이 100%를 넘지 못한 기업의 비율은 전체의 30.8%로 전년(26.4%)에 비해 4.4%포인트나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9년의 35.6%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환란 이후지속적으로 감소하던 금융비용이 지난해 소폭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이자보상비율이란 영업이익과 이자수익의 합을 금융비용으로 나눈 것인데, 100%를 넘지 못한다는 것은 기업의 수입으로 빌린 돈의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의 비율은 지난 1996년에는 25.0%에 불과했으나 외환위기 당시인 97년, 98년, 99년에는 각각 34.2%, 45.2%, 35.6%에 달하며 기업 수익성이 최악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 2000년 27.1%로 급격히 떨어진 뒤 2001년 30.2%로 다소 높아졌으나2002년 29.4%, 2003년 28.6%, 2004년 26.4% 등으로 계속 낮아졌다.
한은은 지난해 원.달러 환율 하락, 원유 등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적자기업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의 취약기업의 비중도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기업의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경상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매출액 경상이익률이 0% 미만인 '적자기업'의 비중이 지난해 27.4%로 전년보다 4.1%포인트나높아졌다.
아울러 지난해 국내기업의 매출액 경상이익률은 평균 8.2%로 전년보다 2.4%포인트나 떨어지며 10%를 밑돌았다. 이는 기업이 100원어치를 팔아 8.2원의 이익만 남겼다는 의미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기업의 평균 이자보상비율은 550%로 전년보다는 못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다만 적자기업의 비중이 늘어났다는 것은 문제"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앞으로 환율이 추가로 하락할 경우 수출기업의 수익성 압박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