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 '교육', 저소득층 '주거'지출 가장 커"

체감물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더 높아

소득이 많은 가계일수록 교육 관련 지출의 비중이 크고, 저소득층의 경우 주거비 등 필수 품목의 부담이 절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계층별 소비 형태 차이가 뚜렷한 가운데, 물가 상승률은 오히려 광열, 수도, 식료품, 보건, 의료 등의 필수품이 상대적으로 높아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23일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통계청의 가계조사를 토대로 지난 2000년부터 작년3·4분기까지 소득계층별 소비품목 지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 소득 상위 20% 계층의경우 교육비 지출 비중이 평균 13.3%로 가장 컸다. 이어 교통(12.9%), 식료품(12.9%), 외식(12.1%), 주거(10.6%), 피복.신발(6.5%),교양.오락(6.4%)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소득 하위 20% 계층은 전체 소비의 19.7%가 주거비에 집중됐다. 주거비 항목에는 월세, 주택설비 및 수선비 뿐 아니라 전세나 보증부월세 등도기회비용을 따져 환산, 포함됐다. 저소득층의 소비 비중 2위 품목은 식료품(17.8%)이었고 외식(11.6%), 교통(8.9%), 교육(8.3%), 통신(7.1%), 광열.수도(6.6%), 보건·의료(4.8%)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원은 이 같은 계층별 소비 구조 차이와 최근 품목별 물가 상승률을 감안할때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을 것으로 추정했다. 2001~2005년 품목별 연평균 물가 상승률은 교육(5.1%), 광열.수도(4.9%), 식료품(4.2%), 보건.의료(3.5%), 주거비(3.0%) 등의 순이었다. 1위 '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2~5위는 모두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의 소비에서 더욱 비중이 높은 품목들이다. 한편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계층별 소비 구조도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 항목은 외환위기 전인 1990~1997년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지출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2000~2005년에는 저소득층, 고소득층에서 순위가 각각 2위, 3위로 밀려났다. 교육비 비중은 고소득층의 경우 4위에서 외환위기 후 1위로 뛴 반면, 저소득층에서는 4위에서 5위로 오히려 한 단계 하락했다. 통신비는 저소득층, 고소득층에서 각각 8계단(12위→4위), 4계단(12위→8위)씩큰 폭 상승했다. 송태정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로 소득계층별 소비지출 구조가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가 고소득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소비회복이 중산층 이하까지 확산되기 위해서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결정하는 물가가 안정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