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産學官 협력으로 소재산업 키워야

정부가 ‘소재산업 발전 비전과 전략’을 마련한 데는 이를 개발하지 않으면 대일무역적자를 줄일 수 없고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담겨 있다. 지난해 93억달러를 기록한 이 분야 대일적자는 올해 100억달러를 넘을 가능성이 커 만성적인 대일무역적자의 근본원인이 되고 있다. 일본에서 소재를 수입하기 때문에 반도체 등 제품을 만들어 수출해도 일본 좋은 일만 시키는 셈이다. 소재는 첨단산업의 ‘쌀’이다. 빼놓을 수 없는 기초적인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재산업은 단기간에 육성하기 어렵다는 데 문제가 있다. 개발 투자비용이 엄청나고 오래 걸리는데다 성공확률이 아주 낮기 때문에 기업은 이를 기피한다. 이번에 정부가 직접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소재산업은 정부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원할 때 토대가 구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삼차원 집적 세라믹 등 세계적 소재 30개의 원천기술을 개발, 확보하기로 한 것은 이런 점에서 바람직한 결정이다. 선택된 30개 소재는 바이오, 차세대 반도체, 자동차, 에너지, 통신 등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개발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빈틈없이 준비해야 한다. 서두르기보다는 차근차근 한단계씩 밟아 올라간다는 호흡 긴 자세가 요구된다. 소재산업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기술개발에 한계가 있다. 개발 상승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산학연 협력체제를 구축하고 정부지원 예산 확대는 물론 자금이 필요한 곳으로 흘러가도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기업도 정부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자체 개발한다는 도전정신을 가져야 한다. 개발이 어려운 만큼 성공하면 그만큼 부가가치가 높다. 일본에서 사다만 쓰다가는 일본 종속에서 벗어날 수 없는데도 대기업은 현금을 쌓아두고도 투자를 기피하고 있다. 중국까지 빠르게 쫓아오는 상황에서 이 같은 소극적 자세로는 글로벌 경쟁체제에서 살아 남기 어렵다. 정부가 앞에서 끌고 기업과 연구소 등이 뒤를 받칠 때 소재산업은 꽃을 피우게 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