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주 액면분할해야] 상장 벽에 막혀 힘못쓰는 리츠

"이익 90% 이상 배당해 가계소득 늘리기 딱인데…"
새경제팀 기조와 통하지만 기준 엄격해 8곳 입성 그쳐
9월 IPO 활성화방안 기대속 "신뢰회복부터해야" 지적도


#. K리츠(REITs) 회사는 며칠 전 황당한 일을 겪었다. 리츠 상장을 위해 반기 검토보고서 등 한국거래소가 요청한 자료를 준비하던 중 갑작스레 '상장 불가'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거래소가 요구한 자본금도 충족한 상태였지만 되돌아온 것은 "투자자 보호와 상장 적격성이 불충분하다"는 모호한 답변뿐이었다.

K리츠의 한 관계자는 "거래소와 협의할 때 상장이 안 된다는 통보를 받았다면 상장 시도조차 안 했을 것"이라며 "자본금을 늘리더라도 상장을 해줄 수 없다는 거래소의 입장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상장 벽에 가로막힌 리츠는 K사뿐만이 아니다. 지난 2012년 D리츠사도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하는 등 4개월간 노력을 기울였지만 "기업의 계속성과 경영 투명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답변만 듣고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부동산과 자본시장의 연계를 통해 일반인의 투자기회를 확대하려는 목적으로 2002년 도입된 리츠가 2011년 다산리츠의 금융사고 이후 상장기준이 까다로워지면서 몇 년째 제자리걸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다산리츠는 폭력조직에 연루된 대표가 주식 대금을 허위로 납입하다 검찰에 덜미를 잡혀 상장 폐지되고 말았다. 리츠에 대한 신뢰가 한방에 무너진 결정적 계기였다.

◇이익의 90%까지 배당, 새 경제팀 기조와도 맞아=리츠 상장 활성화는 사내유보를 배당으로 돌려 가계소득 증대를 꾀하는 새 경제팀의 경제정책 방향과 일맥 상통한다. 부동산투자회사법에 따르면 리츠는 해당 연도 이익배당 한도의 90% 이상을 주주에게 배당하도록 명시돼 있다. 리츠는 부동산도 살리고 배당소득도 적지 않아 가계소득 증대에 더없이 안성맞춤인 셈이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위축된 기업 상장 정상화를 위해 상장법인의 자금조달 수단을 다양화하는 동시에 상장·공시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기업 상장(IP0) 활성화 방안'을 오는 9월에 내놓을 예정이어서 리츠 업계 관계자들의 기대감은 한껏 고조돼 있다.

하지만 기대감을 반영하듯 현실은 매우 초라한 수준이다. 2002년부터 올해까지 총 80개 리츠가 12조3,000억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지만 주식시장에 상장된 리츠는 10분의1인 8개 업체에 불과하다. 시가총액은 고작 2,000억원으로 2002년과 2003년에 리츠를 도입한 싱가포르(42조원)나 프랑스(68조원)와 비교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당초 도입 취지와 달리 공모 및 상장이 활성화되지 않아 개인보다는 기관투자가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돼 있다. 자본시장에서 직접 자금을 조달하는 리츠의 장점이 사실상 사라진 상태라는 설명이다.

◇리츠 역시 떨어진 신뢰 회복해야=리츠 업계의 자구노력 역시 필수적이다. 금융사고 이후 땅에 떨어진 리츠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지 않은 채 상장으로 인한 파이 키우기에만 목을 매게 되면 시장의 곱지 않은 시선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이라는 얘기다.

이에 대해 리츠의 총괄 관리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사고 이후 매년 리츠 및 관련 회사에 대한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리츠의 안정성 확보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2년부터 리츠 및 관련 기관 등 총 160개사에 대해 309번의 전수검사를 실시했다"며 "리츠 시장 확대에 따른 사후 관리·감독 강화를 위해 5월에는 변호사·회계사·감정평가사 등으로 구성된 리츠 심사단을 구성,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거래소의 상장심사 담당자는 "2011년 금융사고 이후 관련 규정이 강화됐기 때문에 특별하게 상장 과정에서 리츠를 역차별하는 것은 없다"며 "리츠·일반기업 여부에 관계없이 공모투자자를 충분히 보호하면서 자금조달을 할 수 있는 부분을 최우선 순위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