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대구와 광주광역시에 수 천억원을 들여 과학관을 지어놓고도 운영비를 부담을 놓고 지자체와 갈등하며 몇 달째 개관을 못하고 있다.
24일 대구시에 따르면 국립 대구과학관은 국ㆍ시비 등 모두 1,160억원을 투입돼 달성군 유가면 대구테크노폴리스 내 11만7,356㎡의 부지에 건립됐다. 과학관은 과학문화 확산 및 청소년에게 과학 체험·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체험관, 자연환경·과학기술 주제전시관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당초 지난해 10월 준공 후 곧바로 운영키로 했으나 정부와 대구시가 인건비·시설유지비 등으로 연간 75억~100억원이 들어가는 운영비 부담을 놓고 갈등을 빚으면서 개관 예정일이 이달 말까지 연기됐다.
정부는 '대구시가 운영비 일부를 책임져야 한다', 대구시는 '국립인 만큼 국가가 운영비 전액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맞서다 대구시가 필수운영경비의 40%를 매년 부담하는 쪽으로 정리됐다.
하지만 과학관 운영을 맡을 법인 설립 작업이 지지부진하면서 개관 일정은 다음달 말이나 6월로 다시 연기됐다. 새 정부 들어 과학관 사업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됐고, 미래부 출범이 늦어지면서 법인 설립도 지연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과천과 대전에 위치한 기존 국립 과학관은 직영하고 있으나 신설되는 과학관은 법인을 설립해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준공 후 지금까지 시설 유지관리에만 7억원의 예산이 낭비됐다.
광주광역시 북구 오룡동에 사업비 844억 원을 투입해 대구과학관보다 한 달 늦게 준공된 국립 광주과학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연간 56억 원으로 예상되는 광주과학관 운영비 부담을 놓고 여전히 광주시와 정부와 팽팽한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광주시 기업지원과 관계자는 "전액 국비로 운영되고 있는 기존의 국립과학관과 마찬가지로 광주과학관 역시 전액 국비지원을 요청하고 있으나 정부서는 일부 지방비 부담을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개관 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면서 최근 진행한 광주과학관 관장 공모에는 단 1명만이 응시 원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다시 공모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현재 대구과학관 관장 선임 절차가 진행 중"이라며 "법인 설립이 마무리되는 5~6월쯤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