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대응책 찾기 머리 맞댄다

中 철강 1위 바오스틸, 포스코 방문

"포스코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중국에서도 온실가스 문제가 첨예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중국 1위 철강업체인 바오스틸 임직원 5명이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를 찾았다.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문제를 두고 포스코 임직원들과 머리를 맞대기 위해서다.

포스코와 바오스틸의 최대 관심사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로 모아 졌다. 각 기업들에 온실가스 배출 상한선을 할당하고 이를 넘길 경우 이산화탄소 톤당 3만원의 과징금을 물도록 하는 게 배출권 거래제의 골자다.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컸으나 결국 내년 1월1일 시행하기로 최종 방향이 정해진 상황이다.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다음 달 중 기업별 할당량을 배정할 계획이다.

철강업계는 배출권 거래제를 불안한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 가뜩이나 수익성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철강업체들이 물어야 할 부담금이 향후 3년간 최대 3,653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탓이다. 중국 또한 정부가 직접 나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오는 2020년까지 40~45% 감축(2005년 기준)하기로 하는 등 점차 '녹색 부담'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한국 철강업계의 대응이 향후 온실가스 문제에 대한 교과서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포스코의 경우 환경에너지실을 조직 내에 마련해 관련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개선사항을 논의했다"며 "양사가 협력 관계를 유지해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