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노동생산성 '뚝~뚝'

수출·투자·고용 위축에 3분기 연속 하락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3분기 연속 감소했다. 재정지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출ㆍ투자가 부진하고 소비도 위축된데다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도 함께 줄어든 탓이다. 지식경제부와 한국생산성본부는 지난 2ㆍ4분기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전년 동기보다 2.7%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노동생산성은 지난해 4ㆍ4분기부터 계속 감소해왔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은 소비ㆍ투자ㆍ수출 등 산출량을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을 감안한 노동투입량으로 나눈 수치다. 불황으로 산출량이 줄어들면 노동생산성도 감소한다. 실제 2ㆍ4분기소비와 투자ㆍ수출이 각각 0.8%, 15.9%, 4.2% 감소하면서 산출량은 6.6% 줄었다. 또 경제위기로 고용조정이 본격화하면서 근로자 수와 근로시간도 각각 3.7%, 0.4%씩 감소하며 노동투입량 역시 4.1% 줄었다. 부문별로는 정보기술(IT) 분야의 노동생산성이 10.0% 증가했지만 비IT 분야는 5.8% 감소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이 각각 3.5%, 6.8% 감소해 중소기업의 생산성 감소세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째 떨어지고 있는 노동생산성을 올리려면 수출과 투자를 늘리고 고용을 더 확대하는 수밖에 없다. 지경부의 한 관계자는 "노동생산성 감소세를 돌리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전략을 추진하는 한편 고용도 늘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